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40037693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 Obstetric Outcome of Unexplained Infertility Patients Follow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http://www.riss.kr/link?id=A40037693
  • 저자[authors] 조연경,허걸,김선희,차승희,조준형,김진영,양광문,전종영,궁미경,강인수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7No.6[2004]

  • 발행처[publisher] 대한산부인과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79-118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4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16



주제어[descriptor] 원인불명 불임,보조생식술,산과적 예후,Unexplained infertility,ART,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초록[abstracts] [목적 : 본 연구는 원인불명 불임환자가 보조생식술 시행 후 임신된 경우 자연임신과 산과적 예후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년 1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제일병원에 내원하여 최종적으로 진단복강경으로 원인불명불임으로 진단받고 보조생식술 시행 후 임신된 단태임신 79예와 연령과 산과력을 고려한 동일 기간의 172예의 자연임신군간에 산과적, 주산기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Chi-square test 및 t-test를 시행하였고 p<0.05인 경우를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원인불명 불임환자군이 자연임신군에 비해 분만시 제태연령 (38.2±0.5주 vs. 39.4±0.1주, p>0.001)이 유의하게 낮고, 임신성 당뇨병 (7.6% vs. 1.2%, 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간전증, 임신주수대비 저체중아, 양수과소증, 주산기 사망률, 제왕절개술의 빈도, 조기진통, 신생아의 1분, 5분 아프가 점수 등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자연임신인 경우와 비교하여 보조생식술에 의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임신은 분만시 제태연령이 낮았지만 조산은 증가하지 않았으며, 임신성 당뇨병 이외의 주산기 합병증은 증가하지 않았다.    ,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of women with unexplained infertility follow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Methods : From January 1999 to February 2002, a total of seventy-nine singleton pregnancies which progressed beyond 20 weeks gestation following embryo transfer in women finally diagnosed as unexplained infertility by diagnostic laparosco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atched control was spontaneously conceived 172 singleton pregnancies.  Retrospectively, we analyzed the obstetric outcome and compare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birth weight, Apgar score, and the incidence of perinatal mortality, preterm labor, preeclampsia,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oligohydramnios between two groups.  Results : The mean gestational duration of study group was shorter than control group (38.2±0.5 vs. 39.4±0.1 weeks, p=0.001). The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udy group (7.6% vs. 1.2%,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birth weight (3088.1±86.1 g vs. 3243.8±37.2 g), the incidence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10.1% vs. 11.6%), preeclampsia (3.8% vs. 2.3%), oligohydramnios (3.8% vs. 5.8%), preterm labor (7.6% vs. 5.2%), cesarean delivery (45.6% vs. 41.3%), and perinatal mortality (1.3% vs. 0.6%)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gestational duration of women with unexplained infertility after IVF-ET was shorter, but the incidence of preterm birth was not increased. And the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of stud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spontaneously conceived pregnancies.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 생명윤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숙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67

5 과학 기술 사회 외국법 자료 / 석희태

발행년 2018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환자 피해를 막기 위한 사무장병원 규제/이명민

발행년 2016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의 사이버 보안관제 서비스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이성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고등학생의 보건의료소비자 알 권리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 김조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을 위한 데이터 통합 방안 / 정일영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포괄수가제 당연적용 전·후 진료비와 재원기간 비교 / 이고은

발행년 2018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노인 대상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 및 부작용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도 조사 / 임지연 외

발행년 2012 

  • 조회 수 67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보조공학 활용 방안에 관한 소고 / 김용욱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김나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외 연명의료결정법안 도입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주은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의 한방의료기관 이용 실태 및 한방난임치료 지원사업 수요에 관한 설문조사연구

발행년 2013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발행년 2010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서 의료정보의 보호에 관한 연구/이여진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67

14 재생산 기술 아버지 2명, 어머니 3명의 시험관 아기 / 박성래

발행년 1998 

  • 조회 수 67

14 재생산 기술 Banning Human Cloning-Then What?

발행년 2001 

  • 조회 수 67

18 인체실험 How Closely Do Institutional Review Boards Follow the Common Rule?

발행년 2012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방사선 분야의 신의료기술평가 및 건강보험 등재 현황에 관한 연구 / 조영권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