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427867 
존엄사의 법제화에 대한 태도 

= Attitudes Toward Legalization of Death with Dignity

  • 저자[authors] 김미혜(Mee Hye Kim),김소희(So Hee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0No.10[2010]
  • 발행처[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04-31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0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004
  • 주제어[descriptor] 존엄사,존엄사 법제화,죽음,상담서비스,Death with Dignity,Legalization of Death with Dignity,Death,Counselling Service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일반성인의 존엄사의 법제화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고자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세이상 남녀 5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과 죽음과 관련한 개인적 경험, 죽음에 대한 생각, 존엄사 및 법제화에 대한 찬반여부, 법제화 요건에 대한 의견 등의 총 28개 항목에 대해 백분율, 평균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87.3%가 존엄사법제화에 찬성하였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기혼인 경우, 부부가구의 경우, 불교를 믿는 경우, 자영업자나 생산직 종사자의 경우, 가족?친지의 투병 및 임종경험, 간병경험이 있는 경우,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이 강한 경우, 유언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경우 존엄사의 법제화 찬성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법제화를 위한 요건으로 ‘본인 의사 판단의 근거’를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존엄사의 결정자’에 대해 본인 다음으로 가족의 의견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서비스로 존엄사 결정시 ‘본인, 가족과 의사와의 의견조율’에 대한 도움과 ‘질병 경과나 연명치료 과정에 대한 의학적 정보’와 ‘우울 등 심리상담’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attitudes toward legalization of death with dignity. The respondents are 561 adults aged 20 years old and over, living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Research questionnaire consist of 28 questions concerning general background, personal experiences of death, attitudes toward death, pros and cons on death with dignity and legalization. Statistical analyses employ frequency, mean, cross tab, and t-test. 87.3% of respondents agree the legalization of death with dignity. The persons who are older, self-employed, and production employees, get married, live with spouse, believe buddhism, experience care for the death, believe life after death, recognize the necessity of testament agree more on death with dignity. The first requisite for legalization of death with dignity is the standard of judgement concerning self decision on death with dignity. The decision makers are prioritized by self, family member in order. The necessary services for decisions on death with dignity are the mediation role between medical team and family, medical information about illness prognosis and prolongation, psychological counselling on depression.]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828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오미선 2019  483
382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3
3826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3
382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382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에게 발생하는 이상반응 관리 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미성 2010  483
3823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 기술이 인간을 진화시키고,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 김남욱 2018  482
3822 12 낙태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 이경직 2007  482
3821 17 신경과학 약리학적 기분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고찰 / 추병완 2019  481
3820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3819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소고 / 김혁돈, 이재호 2019  480
3818 2 생명윤리 우리나라 기관이해상충 관리규정 현황조사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최병인, 지호섭 2015  480
381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의한 판사의 대체 가능성 고찰 / 양종모 2018  479
3816 20 죽음과 죽어감 조력자살과 형법 - 안락사의 일 유형으로서의 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주희 2011  479
3815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
3814 2 생명윤리 생명과학 입장에서 본 생명윤리 / 성혜, 남명진 2009  478
3813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의 최근 연구 동향과 관련 윤리지침 / 권복규, 안경진 2007  478
3812 12 낙태 여성 인권으로서의 임신중단권 / 김채윤 2018  477
3811 14 재생산 기술 출산장려 정책의 정책논리 타당성 평가 / 이순희 2016  477
3810 15 유전학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 / 정윤석 외 2007  477
3809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동물, 로봇 그리고 바이오필리아(biophilia)의 법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상을 중심으로 / 민윤영 2017  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