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57124 
미국에서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사법적, 입법적 논의 

= The Judicial and legislative discussions about passive Euthanasia in America

  • 저자[authors] 박영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350[2005]
  • 발행처[publisher] 대한변호사협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7-1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5

초록[abstracts]
[미국에서는 Living Will이 있거나 의사능력이 있는 상태에서 결정한 소극적 안락사를 종교의 자유와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인정하면서 자신의 의사에 따라서 종교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있는 것처럼 자신의 의사결정에 따라 연명치료를 거부하는 것은 인간의 타고난 권리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역대 어느 정권보다 친기독교적인 정책을 노골적으로 취하고 있는 부시행정부에서도 Living Will에 의한 소극적 안락사는 개인의 헌법상 권리로 인정하고, 종교인들도Living Will에 의한 소극적 안락사에 대하여는 반대 의사를 표현하는 것을 매우 꺼려하고 있는 것은 소극적 안락사가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알게 하여 준다.소극적 안락사가 광범위하게 묵인되고 있는 우리 나라의 현실과 세계적인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문제는 현재 환자의 회복 불가능성에 대한 판단이나 환자 본인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사표시의 진정성 여부에 관한 판단에 대하여 아무런 기준도 없이 경우에 따라서는 의사나 환자 가족의 독단적이고 독선적인 판단에 의하여 소극적 안락사라는 미명하에 실제로는 환자를 살인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국에서와 같이 소극적 안락사는 당연히 허용하면서도 그 시행은 매우 엄격히 규제하여 환자의 소극적 안락사 시행 이전에 반드시 환자의 회생가능성 여부와 환자의 연명치료거부 의사의 표시 여부를 법원의 판단을 받아서 그 법원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소극적 안락사를 시행하도록 하여 소극적 안락사를 허용하되 그 허용요건과 시행을 엄격한 감시와 통제하에 두는 것이 오히려 더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68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1067 18 인체실험 시험 불안과 임상진료시험성적과의 관련성 / 박경민 2019  106
1066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6
1065 15 유전학 대규모 유전체연구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 / 조은희 2018  106
1064 5 과학 기술 사회 안전성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과정과 인간공학 가이드라인 연구 / 채승진 외 2017  106
1063 1 윤리학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의 적용을 위한 방향 탐색 - 윤리교사들의 윤리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 장승희 2017  106
»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에서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사법적, 입법적 논의 / 박영호 2005  106
1061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1060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1059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1058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6
105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1056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2014  106
105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차동필 2010  106
1054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1053 15 유전학 "과학의 승리"는 어떻게 선언될 수 있는가? 친자 확인을 위한 혈액형 검사가 법원으로 들어갔던 과정 / 김효민 2019  105
1052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2019  105
1051 15 유전학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 최진일 2019  105
1050 1 윤리학 한국에서의 비영리법인 및 공익법인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 송호영 2019  105
104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과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건강행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