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09489 
데이터기반의학에서 의료수준의 정립과 법적 책임

= Legal liability of medical professional standards in data-based medicine

  • 저자[authors] 김기영(Kim, Ki-Yo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5No.1[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9-6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의료기기,의료수준,시스템의학,빅데이터,책임,의료정보,정밀의료,Medical device,Standard,system medicine,big data,liability,health data,precision medicine

초록[abstracts]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기반의료에 있어서 의료수준의 규범화에 대한 새로운 법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디지털의료정보의 수집은 한편으로는 기술적인 지원 없이는 더 이상 할 수 없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정보들을 통해 맞춤의학을 원하는 환자에게 개별적인 진료를 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건영역에서 이러한 정보의 가공과 평가는 보건시스템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앞으로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정보의 수집이 의료수준이 될 수 있고 이는 현대의학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의료시스템은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데 환자에게는 민사책임에서 의료수준의 개념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시스템의 시행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법적 요건들을 충족해야 한다.    다음에서는 디지털화에 따른 의료의 기술적인 발전에 대해서 설명하고(II), 데이터기반의료에서 의료수준에 대한 개념을 통해 법적 및 실무적인 문제들을 자세히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법적인 측면에서 데이터기반의료에 대한 책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III). 마지막으로 이러한 시스템의학의 가능성과 위험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문제들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IV).

The study presents new legal challenges for creating a clear concept of standardization of data-based medicine. On one hand, not only enormous data storage and management solution but also advanced technical support are required to record and store health data in digital form and to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stored medical data may provide critical medical infornation for treating individuals who look forpersonalized medicine for them. It is clear that the way of processing and using medical data would shape the structures of the health care market.    In the future, the collection of data with the smartphone or wearables devices will be very comm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IT) advances will create new phenomenon and then will bring great changes in the medical sector. Future changes would presents new challenges to patients as well as healthcare professionals. To prepare changes and challenges of a new personalized health care system, certain legal prerequisites must be fulfilled.    Then the study discusses technical developments in medicine brought by the degitalization (II). The legal and practical problems regarding conceptualization of medical standards in data-based medicine are examined in detail. Next, the legal implications of liability for data-based medicine are explored (III). Lastly, the study assesses a political outlook on the new challenges and the assessment of opportunities and risks in system medicine (IV).]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론  II. 데이터기반의료의 정보화와 의료의 발전  III. 데이터기반의학에서 의료수준의 정립과정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22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722
422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개념과 분류 / 구영모 2005  720
4226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2004  717
4225 13 인구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 연구 / 황해범 2006  712
4224 9 보건의료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법적 문제 / 김기영 2018  711
422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 오윤규, 한진석, 안규리, 김연수, 김성권, 이정상, 김강석, 이상구, 김성균, 서경석 2002  710
4222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
4221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2012  710
4220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7  707
421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2019  702
421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 탐구 : 싱어, 칸트,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 곽영근 2018  701
4217 1 윤리학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가능성-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 양천수 2014  701
4216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2015  701
4215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2016  694
4214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2015  693
4213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2013  693
4212 18 인체실험 의학연구에서 위험성 평가 :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평가를 위해 고려할 사항들 / 이일학 2008  691
4211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2012  690
4210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4209 14 재생산 기술 치료 발전을 위한 인간복제배아 연구의 허용성 여부에 대한 검토 및 관련 생명윤리법 규정의 타당성 / 오정한 2013  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