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圓光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016982 
제3자가 관여된 생식보조기술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A Proposal for Legislation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nvolving a Third Party

  • 저자[authors] 김성은(Kim, Sung-E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圓光法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1No.3[2015]
  • 발행처[publisher]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9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5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self-decision,Artificial Insemination by Semen derived from Donor(AID),Reproductive rights,민법 제844조,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child welfare,benefit of the children,civil law article number 844,자의 복리,리프로덕티브 라이츠,자기결정권

초록[abstracts] 
[While reproductive medical technologies have been steadily introduced to the society because of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relevant systems for their proper implementation, such as the legal regulation, are still insufficient. Currently, the improvement of relevant laws for proper response to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issues surrounding reproductive medical technologies—including the legal status of a newborn baby—are considered as the most urgent tasks. As for the effectiveness of reproductive medical technologies involving a third party, such issues as the right of self-decision of pregnant women, human dignity, and child welfare, including pregnancy and delivery risks, are being discussed, but they are never connected to the improvement of relevant laws. Nonetheless, given that everyone can already have a child through the use of reproductive medical technology and that the relevant operation can be conducted in Korea and in foreign countries, even if it is prohibited by law, it is more important to identify the problems that can be caused by the reproductive medical technologies involving a third party than to unconditionally prohibit the technologies. Moreover, it is more desirable to control reproductive medical technolog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institution that can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counseling, and mental care so relevant parties can secure their right of self-decision. What is the most important in implementing reproductive medical technologies is to give consideration to the preservation of the legal status of the fetus to be born as well as its welfare. The review on the legal device is necessary to ensure that persons with no responsibility do not suffer any disadvantage while sufficiently taking in consideration the right to the pursuit of happiness by the infertile couples and the right of self-decision of the providers.]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Ⅱ. 제3자가 관여된 생식보조기술의 유형  Ⅲ. 생식보조기술을 둘러싼 제문제  Ⅳ. 결론 및 법제화를 위한 제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788 20 죽음과 죽어감 자기의사결정강화프로그램이 노인의 사전의료지시에 미치는 영향 / 정혜영 2014  469
3787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준철 2007  468
3786 12 낙태 인공유산에 대한 이해와 목회적 돌봄 / 이주형 1999  468
378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김선현 2001  468
3784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3783 9 보건의료 유령수술에 대한 미국 판례의 동향/성수연 2015  467
378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외과적 관점 / 이승규 1999  467
3781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와 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 이선화 2014  467
3780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6
3779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
3778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와 전문직 교육- 미시적 접근에서 거시적 접근으로/손화철, 송성수 2007  465
3777 1 윤리학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정진연 2009  464
3776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3775 2 생명윤리 현대사회와 생명존중사상 / 송승현 2018  463
3774 10 성/젠더 개발도상국 여성의 건강불평등 현황과 원인, 윤리적 이슈 및 해결책 고찰 / 이상미 외 2018  462
3773 1 윤리학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 환경형법의 인과관계와 행위자의 특정 / 조병선 2014  462
3772 18 인체실험 피험자 권리에 근거한 연구윤리 / 임선우 2010  462
3771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주 등록제도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4  462
3770 12 낙태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영 2003  461
3769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