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UTURE MEDICINE & HUMANITIE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52733 
유전기술과 의료기술 그리고 미래 = Genetic Technology in Medicine: Perspective

  • 저자[authors] 김형래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FUTURE MEDICINE & HUMANITIES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1[2018]
  • 발행처[publisher]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9-10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00
  • 주제어[descriptor] 유전체, 유전의학, 질병, 변이, 다양성

초록[abstracts]
[의료기술은 19세기까지의 경험적 기술에서 20세기를 거치는 동안의 자연과학기술과 더불어 발전하였다. 20세기 말에서 21세기로 진입하면서, 유전자재조합기술이 개발되고 그 산물인 인슐린, 성장호르몬, 표적항암단백질치료제 및 유전자치료제 등에 이르기까지 임상현장에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인간유전체프로젝트 이후, 질병과 생물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 변이를 분석하는 개인유전체분석의 비약적 발전하였고, 유전변이와 유전학 지식이 진단과 치료에 직접적으로 활용되어 개인별 정밀의학이 구현되고 있다. 유전자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보건의료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변혁기를 맞고 있다. 개체의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변이를 정교하게 수정하는 유전자편집기술의 급속한 확산은 여러 질병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것이다.ᅠ그렇지만, 변이의 다양성을 직접적으로 조작함으로 인해 생기는 인류 종과 생태계 종 균형의 변화가 어떠할 지는 생각해 볼 문제이다.

Medical technology has developed with the natural science during the 20th century through empirical medicine until the 19th century. By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nd into the 21st century, genomic recombination technology was developed and used in clinical fields ranging from insulin, growth hormone, targeting anticancer protein therapeutics and gene therapy. Since the human genome project, there has been a breakthrough in the analysis of individual genomes that analyze genetic variants that determine disease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precision medicine is being implemented that directly uses genetic variation and genetic knowledge to diagnose and treat. As a result of these gene-related technologies, not only health care, but also health, medical and social changes are taking place. Gene editing technology that precisely corrects the genetic variation is rapidly spreading. This technology will overcome many diseases. However, it is a question of what changes in the balance of human species and ecosystem species arise from direct manipulation of variability.]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의료기술과 유전자관련 기술  1. 의료기술의 변천 개괄  2. 유전학적 발견과 생명관의 변화   3. 유전자 관련 기술의 범주와 의료적 함의 Ⅲ. 유전자 관련 기술과 사회  1. 유전자 관련 기술의 사회적 함의   2. 유전자 관련 기술과 미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최행식, 송영민

발행년 2011 

  • 조회 수 460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459

1 윤리학 개인정보의 정의와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개인정보"에 관한 헌법적 및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김민성

발행년 2015 

  • 조회 수 459

16 환경 기후변화가 식중독 및 수인성 질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잠재적 영향 분석 / 윤시몬

발행년 2013 

  • 조회 수 459

15 유전학 조혈모세포이식 이후 발생한 UL97 유전자 597-600 해독틀내 결실이 있는 Ganciclovir 내성 거대세포바이러스 대장염 1예 / 성흥섭

발행년 2015 

  • 조회 수 459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에서 비혈연 골수이식을 위한 골수공여자등록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 양윤선

발행년 1999 

  • 조회 수 459

12 낙태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 조사 / 김동식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458

5 과학 기술 사회 人工知能(로봇)의 법적 쟁점에 대한 試論的 考察 / 김윤명

발행년 2016 

  • 조회 수 457

18 인체실험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미국의 Common Rule과 미국 대학의 표준운영지침상 기준을 중심으로/김시형, 추정완

발행년 2015 

  • 조회 수 455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의 법리와 제도 연구 / 박동섭

발행년 2013 

  • 조회 수 455

5 과학 기술 사회 체계적인 로봇윤리의 정립을 위한 로봇 존재론, 특히 로봇의 분류에 관하여 / 고인석

발행년 2012 

  • 조회 수 45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 / 김대규

발행년 2016 

  • 조회 수 45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의한 행정과 국가배상책임제도에 관한 연구/ 이지헌

발행년 2018 

  • 조회 수 453

1 윤리학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헌법상 근거와 보호영역 / 전상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453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모방 로봇의 최신 동향/박종원, 이진이, 김수현

발행년 2012 

  • 조회 수 453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453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조충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452

2 생명윤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 이강미, 이상원

발행년 2014 

  • 조회 수 452

20 죽음과 죽어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 홍경자

발행년 2013 

  • 조회 수 451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개혁의 정책 연혁 및 공공성 분석 / 여영현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