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78376 
미국 NASW 윤리강령의 변화과정 및 2018 개정의 함의 

=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US NASW Code of Ethic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2018 Revision

  • 저자[authors] 김성호(Kim, Seongh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7No.-[2018]
  • 발행처[publisher]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0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200
  • 주제어[descriptor] Social Work Code of Ethics,NASW Code of Ethics,Professional Value,Ethical Principle

초록[abstracts] 
[Ethical issues are the core principl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at have a great impact on social welfare identity, mission and practice as well as social welfare policy change in macro level. The National Social Workers Association (NASW) Code of Ethics, which was revised five times in the history of professional social welfare in the United States, reflects the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philosophical circumstances of that time. in 2017, NASW approved a number of significant amendments to the NASW Code of Ethics. These changes went into effect January 1, 2018. The process of birth and change of the NASW Code of Ethics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ve themes. First,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NASW Code of Ethics is the process and result of struggling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with the historical emergence of social work as a profession. Second, the NASW Code of Ethics provides moral and ethical grounds for professional practice to social workers. Third, the NASW Code of Ethics is a legal domain that provides the basis for legal judgments relating to specific social work practice issues and practices. Fourth, the NASW Code of Ethics is a consensus of NASW on the political ideology that influenced the modeling, methodology and practice of social work. Fifth, the NASW Code of Ethics provides a remedy for the environment of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is study categorized the contents of the NASW s Code of Ethics and the changes of the period by primary data analysis and introduced the major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for applying to social welfare in Korea were suggested.]

목차[Table of content]
I. 서론 II. NASW 윤리강령 전(前)단계 III. 1960년 최초의 NASW 윤리강령 (1967년 일부개정) IV. 1979년 NASW 개정 윤리강령 (1990년과 1993년두 차례 일부 개정) V. 1996년 NASW 윤리강령 VI. 2018년 NASW 윤리강령 (2018년 2월 개정) VII. 결론 및 함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568 18 인체실험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 최은경 2012  401
3567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3566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356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3564 15 유전학 연속적인 체세포핵치환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복제돼지에서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유전 / Minhwa Do 2012  400
356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안전보건 / 권혁면 2016  400
3562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400
3561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0
3560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355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0
3558 15 유전학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 김기풍 외 2016  399
355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오세정 2019  398
35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398
3555 2 생명윤리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원칙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적 재해석 / 유수정 2016  397
3554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2018  397
355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2014  397
3552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397
3551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3550 9 보건의료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 김민우 2016  396
35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