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환경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43555 
인공지능과 환경윤리 -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권리 -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nvironmental Ethics - Moral, Legal Right of Artificial Intelligence -

  • 저자[authors] 김명식 ( Kim Myung-si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환경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5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환경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3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 법적 권리, 도덕적 지위, 자율성, 도덕적 고려대상,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right, moral status, autonomy, moral considerability

초록[abstracts] 
[이글은 인공지능에게 도덕적 법적 권리를 부여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를 다룬다. 인간 아닌 존재에게도 권리를 부여해야 한다는 논의는 일찍이 동물윤리학과 환경윤리학에서 있었다. 많은 동물윤리학자들은 동물이 쾌락과 고통을 느낀다는 점에 주목해 동물에게도 권리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여기서 핵심 쟁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동물이 과연 도덕적 행위주체가 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고, 관건은 동물에게 자율적인 행위능력이 있는가 이다. 다른 하나는 동물이 도덕적인 고려대상인가 하는 것이다. 관건은 동물은 자기에게 가해질 위해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이익관심이 있고, 인간은 그것을 고려해야 할 도덕적 의무가 있는가이다. 이글은 이 두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유럽연합의회 결의안이 갖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비판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강한 인공지능은 자율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도덕적 법적 권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목표를 추구하려는 경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약한 의미이지만 도덕적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이런 윤리적 함의를 갖는 강한 인공지능의 개발을 계속 진행할 것인가와 관련해 진지한 사회적 논의를 해야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moral, legal rights should be given to strong AI. The debate about granting rights to non-human beings was early in animal 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Many animal ethics scholars have pointed out that animals feel pleasure and pain and have claimed that animals should be given rights. There are two important issues here. One is whether an animal can be the moral subject, and the key is whether animal has the ability to act autonomously. The other is that animals can be the object of moral considerability. The key is whether the animal has a interest to be protected from harm to given to it and human has the moral obligation to consider it. This essay analyzes and criticizes the problems of the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focusing on these two issues. In conclusion,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can have the moral, legal right in that it has autonomy. Also it has a tendency to pursue a certain goal, and it can be the object of moral considerability in the weak sense. In this regard, we must engage in serious social debate as to whether we will continue to develop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this ethical implic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68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4
767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윤리적 쟁점의 변천 / 조은희 2014  514
76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4
765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76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76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762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5
76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760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2019  515
75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
75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6
757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 한진아 2007  516
756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755 9 보건의료 원격의료제도 현실화 문제와 개선방안 / 이한주 2018  516
754 18 인체실험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 배그린, 강민아 2013  517
75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752 14 재생산 기술 인간 사배수체 핵 이식 배아 줄기세포의 특성 규명 / 신동혁 2018  517
751 14 재생산 기술 출산의 의료화와 여성의 재생산권 / 조영미 2004  518
75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 / 전자영 2010  518
74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의 현황 및 전망 / 한재권 2016  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