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UTURE MEDICINE & HUMANITIE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52731 
과학 기술이 인간을 진화시키고,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 Can Scientific Technology Evolve and Replace Human Being?

  • 저자[authors] 김남욱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FUTURE MEDICINE & HUMANITIES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1[2018]
  • 발행처[publisher]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5-4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00
  • 주제어[descriptor] 디자이너 베이비, 맞춤형 아기, 착상 전 유전 진단, 가상현실 포르노, 인공지능 섹스 로봇

초록[abstracts]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이 애정의 대상을 구하거나 아이를 낳는 것을 ‘자연스러운’ 과정을 없이도 가능하게 해주었다. 섹스가 아니라 체외 수정 기술로 배아를 만들어 내고, 배아를 착상시키기 전에 유전자를 확인하여 유전 질환을 진단하는 것뿐 아니라 한 걸음 더 나아가 유전자 편집 기술로 성별, 외모, 지능 등의 조건을 원하는 대로 선택하거나 수정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이를 원하는 조건에 따른 맞춤 아기 (designer baby)로 만들어 내는 것은 가까운 미래의 일이 된 것이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물론이며, 인류는 다른 종의 장점을 흡수하거나 기계나 인공 지능을 뛰어 넘는 능력을 가지는 신인류로 진화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 기술에 비하여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나 윤리적이나 법적 기준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며, 최초의 의도와 무관하게 그 결과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섹스와 생식이 분리 되면서 번식과 무관하게 즐기기 위한 섹스의 의미가 더 강조 되었고, 대상에 대한 다양성과 접근성도 증가했다. 더 이상 인간만이 아니라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을 이용한 포르노그래피나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이 성욕뿐 아니라 정서적인 욕구의 해소를 가능하도록 해주고 있다. 동시에 인간이 이러한 대체재에 몰두하여 실제 인간관계를 맺는 능력이 떨어질 수가 있다는 우려도 있다. 우수한 맞춤형 아기를 낳고, 나를 성적, 정서적으로 만족 시켜줄 수 있는 대체재를 찾고자 하는 욕구는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사람들은 진보하는 과학기술이 제공하는 편의성을 즐기는 동시에 기술에 대체 당해 도태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양가감정을 느끼고, 거기서 비롯되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시 과학기술에서 답을 찾으려 하는 끝없는 고리를 반복하고 있다. 결국 ‘과학기술만의 발전’은 인간을 진화시킬 수도, 대체할 수도 없다. 과학 기술의 개발이 인간을 위한 것이라는 근본적인 목적을 잊지 말고 사회 구조와 인식을 함께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for human being to have sexual relationship or reproduce without previous 'natural' process. We will be able to select and modified several conditions to ‘design’ our superior babies through in vitro fertilization and genetic editing techniques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re may not be always good point. Compared to the rapidly developing scientific technology, social consensus and ethical and legal standards are still insufficient. The debate over whether parents have the right to genetically manipulate their babies is a fundamental criticism of gene editing technology. As sex has been separated from reproduction due to developing scientific technology, people have been able to enjoy sex regardless breeding and diversity to select sexual partnership have been also increased. People are able to see porn through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or to relieve sexual desire to sexbo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y may be efficient substitute for people who have difficulties in having sexual relationship or emotional interaction with others. However, there is also a growing concern that the ability to adapt in real life may be deteriorated by engrossing in relationships in the virtual reali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o evolve human and develop human substitutes. It may be the fear for inferior people to be isolate or eliminated In a highly developed society.]

목차[Table of content] 
Ⅰ. 맞춤 아기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1. 두 번째 성 혁명   가. 섹스는 아기를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인가?   나. 착상 전 유전 진단  2. 논의사항 Ⅱ. 섹스, 데이트, 짝 찾기의 변화  1. 가상현실 포르노와 인공지능 섹스봇  2. 논의사항 Ⅲ.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788 12 낙태 인공유산에 대한 이해와 목회적 돌봄 / 이주형 1999  468
378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 김선현 2001  468
3786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3785 15 유전학 유전기술과 의료기술 그리고 미래 / 김형래 2018  467
3784 9 보건의료 유령수술에 대한 미국 판례의 동향/성수연 2015  467
378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외과적 관점 / 이승규 1999  467
3782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와 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 이선화 2014  467
378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
378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준철 2007  465
3779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와 전문직 교육- 미시적 접근에서 거시적 접근으로/손화철, 송성수 2007  465
3778 1 윤리학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정진연 2009  464
3777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3776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4
3775 2 생명윤리 현대사회와 생명존중사상 / 송승현 2018  463
3774 10 성/젠더 개발도상국 여성의 건강불평등 현황과 원인, 윤리적 이슈 및 해결책 고찰 / 이상미 외 2018  462
3773 1 윤리학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 환경형법의 인과관계와 행위자의 특정 / 조병선 2014  462
3772 18 인체실험 피험자 권리에 근거한 연구윤리 / 임선우 2010  462
3771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주 등록제도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4  462
3770 12 낙태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영 2003  461
3769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