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人文科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33647 
인공지능 - 법과 의료 - 

= Artificial Intelligence - Law and Medicine -

  • 저자[authors] 김기영 ( Kim Ki Young ), 김태경 ( Kim Tae Kyung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人文科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69No.-[2018]
  • 발행처[publisher]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9-7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 진료과실, 책임, 빅데이터, 데이터기반의학, artificial intelligence, medical malpractice, responsibility, Big Data, data-based medicine

초록[abstracts]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많아지면서 데이터 기반의 의학도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다. 복잡한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학적인 통찰력을 도출하는 인공지능은 인간의 활동을 단순히 보조하거나 보완하는 기존 기술의 한계를 넘어, 의료영상 처리, 위험 분석, 진단,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부문에서 활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빅데이터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계영역과 의료영역에서 기술적인 발전으로 새로운 법적 문제들이 제기되고 분석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디지털화는 많은 분야에서 근본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분야에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위험과 기회에 대한 문제를 검토하기 전에 이러한 여러 가지 개념적 이해를 살펴보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사용에 따른 의료책임의 변화와 유형들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의료책임의 변화에 따른 법적인 문제들을 유형들로 구분하고, 특히 정보오류에 대한 책임과 진료과실에 대한 책임을 진단상의 과실책임과 로봇의 행위에 대한 책임귀속의 문제로 나누어 분석하고 책임의 법적 한계를 도출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data available, data-based medicine has stood out as one of the important fields of research.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derives medical insights by analyzing complex medical data,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image processing, risk analysis, diagnosis, and the production of drug beyo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echnologies that simply assist or supplement human activities. In addition, new legal issues are being raised and analyzed in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machine and medical fields due to the Big Dat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nalyzes these conceptual understandings and examines the changes and types of medical accountability in relation to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before examining the risks and opportunities of using algorithms in the medical field. In addition, we can classify the legal problems resulting from the change of medical responsibility into several types. In particular, the responsibility for data error and for the cases of medical malpractice is analyzed to define the legal limit of responsibil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08 12 낙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 박명배 외 2017  75
4107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2017  75
4106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2019  75
4105 2 생명윤리 의사윤리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 / 유상호 2015  76
4104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2009  76
4103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4102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2000  76
4101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2017  76
4100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4099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
4098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4097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4096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4095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4094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4093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409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4091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4090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4089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