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문언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21442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저자[authors] 김종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인문언어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1[2018]
  • 발행처[publisher] 국제언어인문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5-12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Abortion, Haram, Hadith, Marriage, MENA

초록[abstracts]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view of abortion in Islamic world and the current state of abortion in MENA countries. First, the researcher studied Islam’s outlook on marriage as a premise for understanding this paper. All countries except Israel in the MENA region forbid abortion based on the religious reasons although the Quran and Hadīth don’t speak clearly about abortion. Islam insists that killing an innocent person is like killing the entire human race. Because abortion is a crime of murder, the researcher ha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population of Islamic countries is increasing. Abortion in Islam is not a generalized topic because it is considered haram (prohibition by Allah), so it belongs to the domain of Allah rather than human beings.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abortion standards as a standard of western society. However, there is a view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traditional concept of abortion due to westernization and the expansion of educ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SNS. Nevertheless, Islam is deeply rooted in the base of Islamic societies, and the possibility of abortion tolerance in the future seems unlikely. All of Islamic juristic schools agree that abortion is permissible in order to save the life of a pregnant woman, and even though abortion is allowed until the end of four months of pregnancy, it is never encouraged for Muslims. As we see in table 2, it has been noted that Tunisia, Bahrain and Turkey are tolerant countries for abortion, and other countries are strictly against abortion because of religious reasons. However, the success rate for contraception is expected to increase relatively in the future.]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는 말   Ⅱ. 이슬람의 결혼의 중요성   Ⅲ. 이슬람의 낙태    1. 이슬람의 낙태에 대한 이해    2. ENA 지역 국가들의 낙태 현황   Ⅳ. 나가는 말   인용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 보건의료 철학 생명(生命), 신체(身體), 정신(精神) / 정창록

발행년 2018 

  • 조회 수 164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27조 제3항 환자 ‘유인’ 금지의 적용범위 / 이석배

발행년 2011 

  • 조회 수 1630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역할의 활성화 방안 탐색 연구 / 엄영란

발행년 2003 

  • 조회 수 1630

15 유전학 형사절차상 유전자정보의 획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정념

발행년 2009 

  • 조회 수 1584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법적 논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583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1560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임의비급여의 개선방안 연구 / 이인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155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56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155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매매의 도덕성 논쟁과 장기보상제도 / 정창록

발행년 2013 

  • 조회 수 1551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한나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544

12 낙태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김종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42

1 윤리학 아동학대 관련 법제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경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38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발행년 2003 

  • 조회 수 1535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생명공학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은진

발행년 2007 

  • 조회 수 153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 및 이용에 관한 민사상의 제문제 / 소재선

발행년 2011 

  • 조회 수 1507

1 윤리학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본 순자 성악설 : 사회적 생명·윤리문제 측면에서 / 허영주

발행년 2016 

  • 조회 수 150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의 경험 / 정선주

발행년 2011 

  • 조회 수 150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 적용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홍준표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02

4 보건의료 철학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조분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