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홍익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957931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간 존엄성 보장에 관한 연구-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uarantee of Human Dignity in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 Focusing on Judgment in the Supreme Court -

  • 저자[authors] 이형석 ( Lee Hyeong Seo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홍익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1[2017]
  • 발행처[publisher]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1-15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인간의 존엄, 존엄성, 동성애, 동성혼, 임신중절, 국가의 보호의무, Human dignity, Sanctity, Homosexuality, Same-sex marriage, Artificial abortion, National obligation of protection

초록[abstracts] 
[인간과 동물을 비교하여 가장 큰 차이점은 존엄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존엄성은 포기할 수 없는 본질적인 요소이며, 인간본성의 실체적 핵심을 의미한다. 인류역사를 보면 인간의 존엄은 노예제도, 대량학살, 강제노동 등으로 침해받기도 하였지만, 존엄성 보호를 위한 노력도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노력을 국가의 의무로 구체적으로 규정한 것이 헌법이다. 헌법에 명문으로 규정한 이유는 인간은 존재만으로 가치가 있는 존재이며 존엄성 자체가 가치개념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하여 헌법의 가치질서적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의 존엄은 객관적인 헌법원칙이며, 국가권력이나 제3자에 의하여 존엄성이 침해되거나 보호받지 못할 경우 침해의 배제나 적극적인 보호를 요구할 구체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다. 국가는 이를 근거로 기본권 보호의무가 발생한다. 또한 인간의 존엄은 국가나 제3자에 의한 침해로부터 보호를 요청할 방어권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다. 인간의 존엄을 우리 헌법은 제10조 단서에`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라고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미국 헌법은 명문의 규정이 없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 인간의 존엄과 국가의 의무에 관하여 연방대법원 판결을 통하여 이를 확인하고 있다. 연방대법원은 동성애, 동성혼, 중절수술 등의 최근 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회적 소수자의 권리를 제한하는 법률이 연방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에 관련된 판례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근거로 판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인간의 존엄에 대한 개념을 중심으로 연방대법원이 판결을 통하여 인정한 인간의 존엄의 전개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The biggest difference in comparing a human being and an animal can be considered to be dignity. Human dignity is an essential element, which cannot be abandoned, and implies the substantial core in human nature. Seeing the human history, the human dignity was ever violated by slavery, genocide, and forced labor. But even an effort to protect sanctity was variously developed. What specifically enacted this effort as the national obligation is the Constitution. A reason of having expressively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has a meaning of confirming that a human being is existence of having value just with existing and that dignity itself is a concept of value. This can lead to being capable of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 based on the value order in the Constitution was made clear. The human dignity is the objectively constitutional principle and also has a specific nature, which will request the infringement exclusion or the positive protection when sanctity is violated or fails to be protected by the state power or the third party. Based on this, the nation is created a duty to guarantee fundamental rights. In addition, the human dignity has even a character of a right to defend that will ask for the protection from the violation caused by the nation or the third party. In terms of human dignity, our constitutional law is expressively stipulating in the condition of Article 10 with saying that `all the people have dignity and value.` However, the U.S. Constitution has no substantive enactment. Because of this, America is being confirmed this through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pertinent to the human dignity and the national obligation. The Supreme Court is judging on the basis of human dignity in a judicial precedent related to whether or not being violated the Federal Constitution by the legislation that restricts social minorities` rights, which are recently becoming the issues in society such as homosexuality, same-sex marriage, and artificial abor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about the development of human dignity that the Supreme Court acknowledged through the judgment focusing on a concept of human dign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748 20 죽음과 죽어감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박상현 2016  451
3747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2015  451
3746 23 연구윤리 한국 의생명과학 연구윤리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최병인 2006  451
3745 14 재생산 기술 여성 난임환자 20례의 임상결과보고 / 조성희 2015  450
3744 1 윤리학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김종세 2016  449
3743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이 던지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이중원 2016  449
3742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
3741 14 재생산 기술 자궁내막암에서 선택적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절제 (ulipristal acetate) 의 항암효과/고아라 2016  448
3740 19 장기 조직 이식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2003  448
3739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
373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2014  448
3737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373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의 법인격 주체 가능성의 이론적 기틀에 대한 기초 연구 / 한희원 2018  446
3735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2010  446
3734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46
3733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에 관한 인간존엄침해여부 논증 : 인간배아복제의 헌법적 허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차수봉 2011  445
373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373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5
3730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및 역할인식 / 유정임 2019  444
3729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2014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