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漢陽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46734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 

=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the fetus and abortion

  • 저자[authors] 이광진(Lee, Kwang-J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漢陽法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8No.4[2017]
  • 발행처[publisher] 한양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9-14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임신중절,과도한 부담,태아,생명권,프라이버시권,모자보건법,abortion,undue burden,fetus,right to life,right of privacy,Mother and Child Health Act

초록[abstracts] 
[The current Constitution does not prescribe the right to life. However human life is protected by basic rights, whether or not there is a provision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There is no doubt that the subject of the right to life includes the fetus, which is a life that has not yet been born.    When does the fetus become the subject of the right to life as human?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issue of being protected from abortion, which is forced to die before the fetus can even begin life as a human being.    And the problem of abortion is related to the fetus’s right to life, the mother"s privacy or self-determination regarding pregnancy.    The U.S. Supreme Court has taken the position that it is a constitutional violation if the legal discipline of abortion causes undue burden on pregnant women. And recently, the U.S. Supreme Court ruled that two provisons(admitting privileges requirement, surgical-center requirement) in a texas Law place a substantial obstacle in the path of women seeking an abortion, constitute an undue burden on abortion access, and therefore violate the Constitution[Whole Woman’s Health v. Hellerstedt, 579 U.S. 2016)].    By the way, I think that the consent of the spouse prescribed by current Mother and Child Health Act is unconstitutional according to the precedent of the United States. This is because it puts an undue burden on the woman to infringe her self-determination on pregnancy.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vise(ame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to supplement the counsultation model in the current term model.]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의 문제  Ⅲ. 미국연방대법원의 임신중절 관련 판례의 변화  Ⅳ. 결론 -현행 모자보건법의 개선방향에 관하여-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68 9 보건의료 인공지능의 의료혁신? : 길병원의 왓슨 도입을 중심으로 / 이다은 2017  71
41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병원윤리위원회 역량강화 교육모듈 개발 / 이강숙 2012  71
4166 5 과학 기술 사회 남성돌봄자 증가와 젠더질서의 역동 : 일본남성의 노인돌봄을 둘러싼 담론과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 지은숙 2017  71
4165 1 윤리학 GDPR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증제도 및 표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최보미 외 2018  71
4164 19 장기 조직 이식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인공장기 모델 / 이상훈 2018  71
4163 13 인구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장진희 외 2017  71
4162 9 보건의료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실습 교재 개발 / 은진수 2018  71
4161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416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 민순 외 2016  71
4159 9 보건의료 비식별화 방식을 적용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연구 : 보건의료정보를 중심으로 / 김은수 2018  71
4158 15 유전학 클라우드 기반의 유전체 분석 방법 / 문지혜 외 2017  71
415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표시에 대한 고찰 / 정진명 2019  71
4156 9 보건의료 문케어, 의료비 부담 낮출 수 있을까 / 홍석철 2019  71
4155 19 장기 조직 이식 Mental Health Among Living Kidney Donors: A Prospective Comparison With Matched Control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2015  72
4154 9 보건의료 공공분야에서의 빅데이터(Big Data) 활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황대욱 2012  72
41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의 법률적 쟁점 및 향후과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정유진 2017  72
415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획승인 허가규정 연구 : 항암제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민영 2011  72
4151 4 보건의료 철학 장애인 건강권 보호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 장애인 건강 주치의를 중심으로 / 임종한 2017  72
4150 5 과학 기술 사회 정보화시대의 지능형로봇 연구동향 / 백문홍 외 2008  72
4149 9 보건의료 알츠하이머병에서 임상약물시험의 최신 동향 / 강희영 외 2015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