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911404 
국내 제약 기업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시험 단계별 개발 기간 분석 

= Development duration analysis on the new molecular entity pipelines of pharmaceutical firms in Korea

  • 저자[authors] 김잔디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57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의경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임상시험 소요 기간,개발 기간,신약 파이프라인,임상시험,국내 신약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 UCI식별코드 I804:11040-000000142172

초록[abstracts] 
신약 개발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미래의 성장 동력이 되는 주요 산업 중 하나이지만 개발하는데 기간도 오래 걸리고, 막대한 연구개발비가 투자되어야 하며, 실패의 위험 부담이 크다는 어려운 점도 있다. 또한, 신약의 안전성에 대한 허가 당국의 요구 증가와 인종 차이 자료 요구, 전세계 동시 개발 전략 등에 의한 대규모 다국가 임상시험의 증가, 임상시험의 복잡성, 환자 등록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임상시험 소요 기간과 비용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식약처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은 국내 제약 기업 신약 파이프라인 182개 중 상위 단계 진입 기록이 있는 파이프라인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단계별 개발 기간,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제약사의 특성별,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의약품의 특성별 개발 기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임상 1상에서 임상 2상까지 평균 2.3년, 임상 2상에서 임상 3상까지 평균 2.9년, 임상 3상에서 시판허가까지는 평균 2.7년, 전체 개발 기간은 평균 6.7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이전과 이후를 비교해 보면, 전체 개발 기간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국내 제약사들의 임상시험 경험의 축적과 임상시험 실시 기관의 숙련된 인력 및 잘 갖추어진 시설로 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기업 규모별로 보았을 때는 모든 단계에서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개발 기간이 긴 것으로 분석되었고, 희귀의약품이 비희귀 의약품에 비해 임상 1상과 임상 2상에 있어서 개발 기간이 더 많이 소요됨을 알 수 있다. 모든 개발 단계에서 생물의약품의 개발 기간이 더 길었으며, 항암제의 경우 비항암제보다 임상 1상과 2상 개발 기간이 더 길었으며, 2상에서 두 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세포치료제는 비세포치료제보다 전체 개발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대기업, 세포치료제일 경우 개발 기간이 감소하였으며, 생물의약품, 항암제일 경우 개발 기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1상에서는 항암제 여부가, 임상 2상의 경우에는 기업 규모와 항암제 여부가 개발 기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이들 요인이 주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전체 개발 기간은 회사의 규모, 생물의약품, 세포치료제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05). 전체적으로 기업의 규모와 항암제 여부가 개발 기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3상과 전체 개발 기간 분석에 있어서 분석 대상 파이프라인 수의 부족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모든 요인을 다 적용하여 분석할 수 없었다는 한계점이 있었지만, 국내 제약 기업의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 단계별 개발 소요 기간 및 개발 기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통해 국내 신약 개발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Table of conten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1
 제2절 연구 목적 3
제2장 문헌고찰 4
 제1절 이론적 배경 4
 제2절 선행 문헌 고찰 9
  1. Are development times for pharmaceuticals increasing or decreasing? 9
  2. Pharmaceutical development phases: A duration analysis 11
  3. Innovation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New estimates of R&D costs 12
  4. 항암제의 국내 임상시험 소요기간 및 허가 동향에 대한 연구 13
제3장 연구 방법 14
 제1절 연구 방법 14
  1. 연구 대상 및 기간 14
 제2절 분석 방법 17
  1. 개발 기간 산정 방법 17
  2. 제약 기업의 매출 규모별 분류 18
  3. 개발 물질의 원천에 따른 분류 18
  4. 치료적응증별 분류 18
  5. 통계 분석 방법 19
제4장 연구 결과 20
 제1절 전체 신약 파이프라인의 특성 20
 제2절 연구 분석 대상 24
 제3절 임상시험 단계별 개발 기간 분석 전체 현황 26
 제4절 연도별 개발 기간 29
 제5절 기업 특성별 개발 기간 30
 제6절 의약품의 특성에 따른 개발 기간 31
  1. 희귀 의약품 여부에 따른 개발 기간 31
  2. 생물의약품 여부에 따른 개발 기간 32
  3. 항암제 여부에 따른 개발 기간 33
  4. 세포치료제 여부에 따른 개발 기간 34
 제7절 신약 파이프라인의 개발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35
제5장 고찰 및 결론 38
참고문헌 42
Abstract 4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 죽음과 죽어감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박상현

발행년 2016 

  • 조회 수 451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발행년 2015 

  • 조회 수 451

23 연구윤리 한국 의생명과학 연구윤리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최병인

발행년 2006 

  • 조회 수 451

14 재생산 기술 여성 난임환자 20례의 임상결과보고 / 조성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450

1 윤리학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김종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49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이 던지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이중원

발행년 2016 

  • 조회 수 449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449

14 재생산 기술 자궁내막암에서 선택적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절제 (ulipristal acetate) 의 항암효과/고아라

발행년 2016 

  • 조회 수 448

19 장기 조직 이식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발행년 2003 

  • 조회 수 448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발행년 2001 

  • 조회 수 44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 신동일

발행년 2014 

  • 조회 수 448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4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의 법인격 주체 가능성의 이론적 기틀에 대한 기초 연구 / 한희원

발행년 2018 

  • 조회 수 446

13 인구 저출산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 김현무

발행년 2010 

  • 조회 수 446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발행년 2014 

  • 조회 수 44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에 관한 인간존엄침해여부 논증 : 인간배아복제의 헌법적 허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차수봉

발행년 2011 

  • 조회 수 44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발행년 2015 

  • 조회 수 44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발행년 2013 

  • 조회 수 445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 및 역할인식 / 유정임

발행년 2019 

  • 조회 수 444

20 죽음과 죽어감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전문간호 실무 프로토콜 개발 / 허윤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