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18317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Medical malpractice case laws and problems - Focusing on the civil liability issues and prospects -

  • 저자[authors] 백경희(Baek, Kyounghee),장연화(Chang, Yeonhwa)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23-24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의료과실,인과관계,설명의무,팀의료,감정,인공지능,medical malpractice,causation,duty of explanation,team medical care,appraisal,artificial intelligence

초록[abstracts] 
[의사 등 의료관계 종사자가 의료행위의 과정에서 그 주의의무를 해태하여 환자에게 상해 또는 사망이라는 악결과를 유발한 경우, 환자는 의사 등에 대하여 금전적 손해배상책임에 해당하는 민사책임을 추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 법제에 의할 때 환자가 의사 등에 대하여 의료과실에 대한 민사책임을 추궁하는 방식으로 당사자가 법원에 대하여 소송을 제기하여 이루어지는 판결에 의한 분쟁해결 외에도 다양한 소송을 대체하는 분쟁해결제도(ADR)가 존재한다. 이렇듯 의료과실에 대한 민사책임을 추궁하는 경로는 다양해졌지만, 해당 사건에서 의료과실이 무엇인지,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에 관한 사항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우리나라 법원을 통하여 발전하여 온 의료민사책임과 관련된 판례의 법리가 근간이 되고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판례의 법리를 통하여 의료과실소송의 민사책임에서의 의료과실과 인과관계, 설명의무의 법리가 정착시켜 왔고, 그 과정에서 법원은 시대의 흐름과 외국의 논의들을 수용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게 의료과실소송의 다양한 법리들을 발전시켜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판례는 의료과실과 인과관계에 있어 환자 측의 증명부담을 경감시키는 한편 이를 무리하게 확장하는 것을 경계하기도 하고 의사의 설명의무와 지도의무를 강조하는 반면 환자의 협력의무의 필요성을 지적하는 등 손해의 공평․타당한 분배에 많은 고민을 하여 왔다.    앞으로 법원이 판례의 법리를 통하여 의료과실소송의 민사책임에서의 전개할 수 있는 과제로는 팀의료와 관련한 책임분배의 문제, 감정(鑑定)과 관련된 문제, 의료행위에 있어서 인공지능의 활용의 문제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Patients can seek civil liability in the form of monetary damages, if medical doctors and medical practitioners breach their duty of care during medical practice and cause injury or death to patients. For such cases where patients seek civil liability against medical doctors for medical practice, in addition to bringing a lawsuit at the appropriate court, there are many methods, such as ADR, that substitute a traditional lawsuit at the appropriate courts. Although means to seek civil liability for medical practice has diversified, determination of medial fault and causation provides the basis for medical malpractice cases seeking civil liability.    In the meantime, the legal liability of medical malpractice, causal relation and explanation duty in the civil liability of the medical malpractice lawsuit have settled through the case laws. In the process, by adopting the trend of the era and foreign discussions, the Korean courts have developed jurisprudence of medical malpractice suit. In particular, the precedents lessen the burden of proof for medical practice and causation on the patient’s part but take caution on excess expansion. While emphasizing doctor"s duty of explanation and guidance, the need for patient"s duty of cooperation is pointed out for fairness and appropriateness of damage distribution.    The following issues that the court can develop in the civil liability of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 through the judicial jurisprudence of the case are problems of distribution of liability directed to team medical care, problems related to appraisal, problems of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론  II. 의료민사책임과 의료판결의 구조  Ⅲ. 의료과실과 인과관계의 판단에 대한 판례의 동향  Ⅳ. 설명의무와 판례의 동향  Ⅴ. 향후의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68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에 관한 법적 쟁점 / 김민우 2014  647
4167 1 윤리학 한국 여성의 혼전임신에 관한 연구 / 김송희 2016  646
416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
4165 20 죽음과 죽어감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 조사 : Q-방법론적 접근 / 박계선 2000  645
4164 15 유전학 국내 유전자은행 관련 법률 및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이정념, 최경석 2008  645
4163 2 생명윤리 생명의 윤리와 생명 공학 논쟁 / 김영건 2016  644
4162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2012  641
4161 13 인구 저출산 원인 조사와 출산장려정책 연구 / 노정현 2012  640
4160 9 보건의료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 김은경 외 2013  639
4159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호 / 위계찬 2012  639
4158 1 윤리학 2015년 일본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 - 개정된 주요 내용과 시사점 / 김은수 2016  638
415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장한철 2016  638
415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 박민아 2018  637
4155 10 성/젠더 디지털 시대 페미니즘 대중화와 십대 페미니스트 '되기(becoming)'에 관한 연구 / 강예원 2019  636
4154 20 죽음과 죽어감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 박혜순 2018  636
4153 22 동물복지 유전자변형 동물실험의 윤리적 논의 동향/김훈기 2016  636
415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기독교적 고찰 : 영남지역 신학도들이 이해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안효욱 2004  636
4151 18 인체실험 미국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인증체계에 대한 연구 / 김수정 2007  636
415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2  636
4149 2 생명윤리 유전자편집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생명윤리법의 재검토 / 김현섭 2017  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