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18317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Medical malpractice case laws and problems - Focusing on the civil liability issues and prospects -

  • 저자[authors] 백경희(Baek, Kyounghee),장연화(Chang, Yeonhwa)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23-24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의료과실,인과관계,설명의무,팀의료,감정,인공지능,medical malpractice,causation,duty of explanation,team medical care,appraisal,artificial intelligence

초록[abstracts] 
[의사 등 의료관계 종사자가 의료행위의 과정에서 그 주의의무를 해태하여 환자에게 상해 또는 사망이라는 악결과를 유발한 경우, 환자는 의사 등에 대하여 금전적 손해배상책임에 해당하는 민사책임을 추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 법제에 의할 때 환자가 의사 등에 대하여 의료과실에 대한 민사책임을 추궁하는 방식으로 당사자가 법원에 대하여 소송을 제기하여 이루어지는 판결에 의한 분쟁해결 외에도 다양한 소송을 대체하는 분쟁해결제도(ADR)가 존재한다. 이렇듯 의료과실에 대한 민사책임을 추궁하는 경로는 다양해졌지만, 해당 사건에서 의료과실이 무엇인지,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에 관한 사항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우리나라 법원을 통하여 발전하여 온 의료민사책임과 관련된 판례의 법리가 근간이 되고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판례의 법리를 통하여 의료과실소송의 민사책임에서의 의료과실과 인과관계, 설명의무의 법리가 정착시켜 왔고, 그 과정에서 법원은 시대의 흐름과 외국의 논의들을 수용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게 의료과실소송의 다양한 법리들을 발전시켜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판례는 의료과실과 인과관계에 있어 환자 측의 증명부담을 경감시키는 한편 이를 무리하게 확장하는 것을 경계하기도 하고 의사의 설명의무와 지도의무를 강조하는 반면 환자의 협력의무의 필요성을 지적하는 등 손해의 공평․타당한 분배에 많은 고민을 하여 왔다.    앞으로 법원이 판례의 법리를 통하여 의료과실소송의 민사책임에서의 전개할 수 있는 과제로는 팀의료와 관련한 책임분배의 문제, 감정(鑑定)과 관련된 문제, 의료행위에 있어서 인공지능의 활용의 문제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Patients can seek civil liability in the form of monetary damages, if medical doctors and medical practitioners breach their duty of care during medical practice and cause injury or death to patients. For such cases where patients seek civil liability against medical doctors for medical practice, in addition to bringing a lawsuit at the appropriate court, there are many methods, such as ADR, that substitute a traditional lawsuit at the appropriate courts. Although means to seek civil liability for medical practice has diversified, determination of medial fault and causation provides the basis for medical malpractice cases seeking civil liability.    In the meantime, the legal liability of medical malpractice, causal relation and explanation duty in the civil liability of the medical malpractice lawsuit have settled through the case laws. In the process, by adopting the trend of the era and foreign discussions, the Korean courts have developed jurisprudence of medical malpractice suit. In particular, the precedents lessen the burden of proof for medical practice and causation on the patient’s part but take caution on excess expansion. While emphasizing doctor"s duty of explanation and guidance, the need for patient"s duty of cooperation is pointed out for fairness and appropriateness of damage distribution.    The following issues that the court can develop in the civil liability of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 through the judicial jurisprudence of the case are problems of distribution of liability directed to team medical care, problems related to appraisal, problems of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론  II. 의료민사책임과 의료판결의 구조  Ⅲ. 의료과실과 인과관계의 판단에 대한 판례의 동향  Ⅳ. 설명의무와 판례의 동향  Ⅴ. 향후의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728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일부간호사의 태도 조사 / 권현주 2009  101
3727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철학에 있어서 AI의 활용 가능성 / 이영의 1990  101
3726 12 낙태 여성운동측면으로 본 낙태 / 김상민 1999  101
3725 15 유전학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2016  101
3724 14 재생산 기술 배란 유도제 투여 후 난소 과자극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한 뇌경색 1례 -증례 보고 / 김명옥 2002  101
3723 9 보건의료 한국 HIV/AIDS 감염인 운동의 흐름과 쟁점 / 임정섭 2011  101
3722 1 윤리학 개인정보 관련 법령의 실무적 운영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개선방향 / 박광배 2017  101
3721 5 과학 기술 사회 군내 신원확인용 인체유래물 보관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김선 2017  101
3720 1 윤리학 사회신경과학에서의 사회적 고통 및 도덕성에 대한 이해와 도덕교육 / 박형빈 2017  101
3719 14 재생산 기술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2017  101
3718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산업의 효율성 비교 연구 / 김현정 2018  101
3717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 활용의 각국 법안 비교 분석 연구 / 임은정 외 2018  101
371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의 입증 / 신은주 2016  101
3715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1
3714 1 윤리학 캐나다의 출생 관련 법제와 그 운영에관한 소고 / 최성경 2019  101
3713 17 신경과학 Neuroscience, Ethics, and National Security: The State of the Art 2012  102
371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윤리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적 고찰 / 송인회 2013  102
3711 2 생명윤리 메르스를 통해 생각해 본 건강의 의미/정재우 2015  102
3710 19 장기 조직 이식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 / 김복순 2015  102
3709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 논의에 대한 구조론적 분석 / 안승병 2004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