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전문간호사 과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897086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 Comparison on Awareness of Good Death and Knowledge and Attitude of Advance Directives of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in Universities.

  • 저자[authors] 권인혜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54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영은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신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전문간호사 과정 201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간호대학생,일반대학생,사전연명의료의향서,좋은죽음,태도,지식
  • 소장기관[Holding]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221003)
  • UCI식별코드 I804:21003-200000108320

초록[abstracts]
2016년 말기환자의 존엄성을 보장하기 위해 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 시행되고 있다. 본 법에는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자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가 포함되어 있는데 시대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며 특별히 예비 간호사인 간호대학생들의 이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간호사인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지식 및 태도 정도를 파악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고 관계를 규명하여 호스피스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설계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며,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 간호대학생 140명, 일반대학생 140명으로 총 28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2월 6일부터 동년 3월 27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K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연구 목적 및 진행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고 자료수집에 동의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 좋은죽음인식은 Schwarz(2003)의 좋은죽음인식도구를 정현숙(2010)이 번안,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의 측정도구는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는 Nolan과 Bruder(1997)가 만든 Advance Directive Attitude Scale(ADAS)를 김미혜(2015)가 번안,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 표준편차, -test, t-test, ANOVA, Scheffé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를 비교한 결과, 좋은죽음인식 정도는 간호대학생 평균 52.79±5.84(도구범위: 17-68), 평균평점 3.10±0.34(척도범위: 1-4)으로 일반대학생 평균 50.61±9.25, 평균평점 2.97±0.5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2.348, p=.020). 간호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정도는 평균 9.39±2.43(도구범위 : 0-16), 평균평점 0.59±0.01(척도범위: 0-1)으로 일반대학생의 평균 8.01±2.86 평균평점 0.50±0.1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4.327,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정도는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를 파악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제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인식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정도는 연령(F=4.520, p=.005), 학년(F=3.585, p=.016), 임상실습 경험유무(t=-2.065, p=.044) 유언장 작성경험(t=3.211,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정도는 연령(F=2.744, p=.046), 호스피스교육유무(t=2.360, p=.02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대학생의 제 특성에 따른 좋은죽음인식 정도는 연령(F=8.750, p<.001), 성별(t=-2.684, p=.008), 학년(F=5.772, p=.001), 건강증진 행위(t=2.413, p=.021), 호스피스교육(t=2.190, p=.030), 연명의료결정법 인지(t=3.50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정도는 성별(t=-2.096, p=.038), 학년(F=2.737, p=.046), 건강상태(t=8.780, p<.001), 건강증진행위(t=2.377, p=.019), 호스피스인지(t=4.21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정도는 연령(t=6.919, p<.001), 건강증진행위(t=2.483, p=.01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간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간호대학생에서 좋은죽음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정적 상관관계(r=.334, p<.001), 일반대학생은 좋은죽음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r=.334,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r=185, p=.029), 각각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일반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모두 죽음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대학생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모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그리고 일반대학생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을 높일 수 있는 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88 9 보건의료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책 변화의 고찰 / 이동현 외 2018  58
4387 9 보건의료 의료수가결정과 변화에 대한 사이버네틱스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 김주환 2010  59
4386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2009  59
4385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4384 9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기반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시스템의 설계 / 김지언 2017  59
43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4382 20 죽음과 죽어감 불교의 생사관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2017  59
4381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 방향 / 황나미 2013  59
4380 12 낙태 낙태의 생명윤리학 / 엄정식 2018  59
4379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59
4378 2 생명윤리 자연주기법을 통한 가정의 생명교육에 관한 고찰 /이진이 2018  59
4377 9 보건의료 국내 재난 시 인명피해 대비 보건의료 교육 현황 / 유학인 외 2018  59
4376 9 보건의료 불법의료기관 근절 대책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안덕선 외 2018  59
4375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김진영 2016  60
4374 13 인구 저출산 대책 - '일ㆍ가정 양립'은 우리 모두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 이상식 2017  60
4373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437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철학적 토대 모색 / 권미연 2017  60
4371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 시술비지원 사업대상의 임신성공 특성분석 2012  60
4370 9 보건의료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의료이용 및 질병특성 비교 / 김유진 2017  60
4369 2 생명윤리 고등학생의 비판적 글쓰기에서 제시문에 대한 분석 유도가 생명 윤리 관점에 미치는 영향 / 하자복 2017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