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질적탐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30883 
상담자의 질적 연구 윤리로서의 윤리적 주체-되기 

= Becoming an Ethical Subject as a Counselor in Qualitative Research Ethics

  • 저자[authors] 김소연(So yeon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질적탐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질적탐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7-9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70
  • 주제어[descriptor] 질적 연구,상담자,윤리적 주체-되기,책임으로서의 윤리,qualitative research,counselor,becoming an ethical subject,ethics as a responsibility

초록[abstrac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thical issues that researchers face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counselors and seek relevant countermeasures to address the issue. To this end, the study first explored the existing research ethics guidelines and precedent studies conducted on the topic of research ethics and how ethics are defined in philosophy that studies ethics as a key issue. The study also examined what the basis of ethical behavior is and where the difference stems from to distinguish ethical person from unethical person. As a practicing counselor, the author has interviewed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the research field, to identify what kind of ethical problems they are facing and which efforts they are exerting to solve the ethical problems they encounter. The author also interviewed a researche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to look into the perspective gap between the researcher conducting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conclusion,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based on philosophical discourse and logic.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the ethical stance and practices required for the researchers wh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as a counselor.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rocedure-based behaviors in ethical practice had their limitations i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a councilor, as the behaviors mean following ethical regulations or guidelines provided by predecessors without self-reflection, accepting it as responsibilities to imply universality and identity. The author, therefore, proposed “becoming an ethical subject,” a différance-generative way of existence to become an “alter ego”, as a work ethic required for a researche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a counselor. This can be achieved by introspecting one’s own way of existence that the person adheres in this life of here and now and embracing the implicit request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expressed in the face of “the absolute other (totaliter aliter)” facing the self., 

본 연구는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이 연구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윤리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연구 윤리 지침들과 연구 윤리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윤리를 핵심과제로 다루는 철학에서는 윤리를 무엇이라고 규정하고 있는지, 윤리적 행동의 근거는 무엇이며, 윤리적 인간과 비윤리적 인간의 차이는 어디서 출발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실제 상담자로서 연구 현장에서 질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자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고민하는 윤리적 문제들은 무엇이고, 그러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 살펴보았고. 질적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한 명의 연구참여자와의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연구자와 연구참여 자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들여다보았다. 마지막으로 철학적 담론과 논리를 근거로 면담내용에 대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우리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태도와 실천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보편성과 동일성을 담지하는 의무로서의 윤리인 윤리 규정이나 선행 질적 연구자들이 제시한 지침들을 아무런 반성 없이 준수 하는 절차주의적 윤리 실천 행위는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그 한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상담자로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에게 요구되는 윤리로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선택하여 지금-여기 삶의 현장에서 여전히 붙들고 있는 나의 존재 방식을 반성하고, 나와 마주하고 있는 절대적인 타자의 얼굴에서 전달되는 무조건적인 환대에 대한 요청을 받아드림으로써 ‘또 다른 나’가 되기를 결단하고 실천하는 차이 생성적 실존 양식인 ‘윤리적 주체-되기’를 제안하였다.]

목차[Table of content] 
I. 들어가며 Ⅱ. 연구 방법 Ⅲ. 의무로서의 윤리 Ⅳ. 책임으로서의 윤리 Ⅴ. 윤리적 주체-되기 Ⅵ. 나가며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708 18 인체실험 생명의 시작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기독교 세계관 / 최현일 2018  437
3707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과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 김한나 2018  437
370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와 형법적 문제점 / 이용식 2007  437
370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시대, 보건의료 미래 전망 / 김형수 외 2017  437
3704 15 유전학 산전 유전자 검사 / 한유정 외 2011  437
370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간이식과 생체 간이식의 장단점 / 조재원 2005  437
370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의 사회적 거버넌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강치영 2012  437
3701 18 인체실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 정미라,정은 2019  436
370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사건수사의 개선방향 : 부검의 중요성과 법의학자의 역할 / 장준혁 2018  436
3699 15 유전학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에 관한 연구 / 윤병국 2016  436
369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의 구성 타당도 중심의 검증 / 윤석준 2016  435
369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2013  435
369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철인통치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플라톤의 ‘이상 국가(Kallipolis)’ 속 ‘... / 송석현 2018  434
3695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비인간 타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그녀』 를 중심으로 /송은주 2018  434
3694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과 신약 개발, 누구의 먹을거리인가? / 백용욱 2016  434
3693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의 인간성에 관한 인간학적 고찰 / 한희숙 2009  434
369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4
3691 1 윤리학 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법적 논쟁의 변화 / 백수진 2012  434
3690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시설 노인과 보호자(대리인)간의 연명치료에 대한 의견일치도 비교 : 충남 공주시 지역 장기요양시설 중심으로 / 임선미 2014  434
3689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