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37149 
한국 의료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한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관한 종단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using Korean medical panel survey data

  • 저자[authors] 이정민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 11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염영희<br>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br>참고문헌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1인 가구,신체활동,스트레스 삶의 질,한국의료패널,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 분석,건강불평등
  • 소장기관[Holding]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211052)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신체활동과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대한 발달궤적을 규명하고 신체활동과 스트레스의 발달궤적이 삶의 질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발달궤적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2010년부터 2013년 까지 총 4년간 한국 의료패널 데이터에서 조사된 1인 가구 595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인 가구의 신체활동은 증가하는 발달궤적을 보였으며 스트레스와 삶의 질은 감소하는 발달궤적을 보였다. 2) 삶의 질의 발달궤적에 신체활동 및 스트레스 초기값과 변화율이 영향을 미쳤으며 구체적으로 신체활동의 초기값이 높으면 삶의 질 초기값이 높았으며 스트레스 초기값이 높으면 삶의 질 초기값이 낮았다. 3)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과 스트레스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결정요인은 계층인식, 성별, 교육 수준, 경제활동 및 소득분위였다. 구체적으로 계층인식은 신체활동 초기값과 스트레스 초기값에 영향을 주었고 성별은 신체활동 초기값에 영향을 주었다. 교육수준은 스트레스 변화율에 영향을 주었고 경제활동은 신체활동 초기값과 스트레스 변화율에 영향을 주었다. 소득분위는 스트레스 변화율에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증가와 스트레스 관리는 대상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장기적인 영향을 주며 이러한 중재적 결정요인에 영향을 주는 교육 수준, 경제적 활동, 소득 등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지기반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건강이란 개인이 변화 가능한 건강 행동 요인의 문제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구조적 결정요인인 사회경제적 조건이란 광범위한 영역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형평성을 위한 정책은 사회의 특정 계층에 집중되거나 질환 및 건강 행위를 바꾸기 위한 보건의료 차원에 한정된 노력은 충분하지 않으며 폭넓은 사회정책으로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s the longitudinal relation among the physical activ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tress on quality of life trajectory. Also, longitudinal effect of social determinants on physical activity stress and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for 595 single - person households surveyed in Korean medical panel data for four years from 2010 to 2013.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activity showed an increasing developmental trajectory. Stress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decreasing developmental trajectory. Second, The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affected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quality of life.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physical activity, the higher the initial quality of life.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stress, the lower the initial quality of life. Third, The structural determinants affecting quality of life,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development trajectory were hierarchy recognition, gender,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and income quintile. Specifically, hierarchical perception affected the initial values of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initial values, and gender affected the initial values of physical activity. The level of education influenced the rate of change of stress and the economic activity affected the initial value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rate of change of stress. The income quintile affected the rate of stress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management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a long-term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o this end, policy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the level of education, economic activity, and income, which are social determinants. Health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 of individual's changeable health behavior factors but is influenced by socioeconomic condition. Therefore, the policy for health equity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health care level to change the disease and health behavior, and it will need access to broad social policy.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건강불평등의 사회적 결정요인 모델 7
 2. 건강불평등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하위 개념 9
 3.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19
 4.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관한 종단 분석 24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26
 1. 연구의 개념적 기틀 26
 2. 연구 모형 28
Ⅳ. 연구방법 29
 1. 연구 설계 29
 2. 연구 대상 29
 3. 측정도구 30
 4. 자료 수집 33
 5. 자료 분석 35
Ⅴ. 연구결과 43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3
 2. 시점별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45
 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6
 4. 시점별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변동경향 48
 5. 시점별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발달궤적 53
 6. 삶의 질 변화 예측을 위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59
Ⅵ. 논 의 69
 1.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변화 궤적 69
 2. 신체활동과 스트레스의 발달궤적이 삶의 질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71
 3.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변화궤적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결정요인 73
 4. 연구의 제한점 77
Ⅶ. 결론 및 제언 78
 1. 결론 78
 2. 제언 79
참고문헌 81
부록 100
국문초록 108
Abstract 1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68 1 윤리학 한국 여성의 혼전임신에 관한 연구 / 김송희 2016  646
416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
4166 15 유전학 국내 유전자은행 관련 법률 및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이정념, 최경석 2008  645
4165 2 생명윤리 생명의 윤리와 생명 공학 논쟁 / 김영건 2016  644
4164 20 죽음과 죽어감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 조사 : Q-방법론적 접근 / 박계선 2000  644
4163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2016  643
4162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2012  641
4161 13 인구 저출산 원인 조사와 출산장려정책 연구 / 노정현 2012  640
4160 9 보건의료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 김은경 외 2013  639
4159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호 / 위계찬 2012  639
4158 1 윤리학 2015년 일본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 - 개정된 주요 내용과 시사점 / 김은수 2016  638
415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 박민아 2018  637
41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장한철 2016  637
4155 10 성/젠더 디지털 시대 페미니즘 대중화와 십대 페미니스트 '되기(becoming)'에 관한 연구 / 강예원 2019  636
4154 20 죽음과 죽어감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 박혜순 2018  636
4153 22 동물복지 유전자변형 동물실험의 윤리적 논의 동향/김훈기 2016  636
415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기독교적 고찰 : 영남지역 신학도들이 이해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안효욱 2004  636
4151 18 인체실험 미국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인증체계에 대한 연구 / 김수정 2007  636
415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2  636
4149 2 생명윤리 유전자편집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생명윤리법의 재검토 / 김현섭 2017  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