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가톨릭사회복지학 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92680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family caregiving experience on their quality of life in caring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 저자[authors] 김계숙
  • 발행사항 서울 :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i, 144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진욱<br>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가톨릭사회복지학 전공 2018. 2
  • DDC[DDC] 361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서강대학교 도서관  (211029)

초록[abstract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family caregiving experience and the social capital on their quality of life in caring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respectivel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caregiving experience and their quality of life.    For this study, the family caregivers over 20 years old were surveyed. Thei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is in the hospital at hospice or general ward, or receives outpatient treatment at the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province,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Busan city. In addition, family caregivers with their patient at a sanatorium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family caregivers participating self-help meeting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 2017 to Sep. 2017. The collected 254 cas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PSS WIN 19.0 and Amos 5.0. To evaluate the main effect of caregiving experience and social capital on their quality of lif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For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caregiving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the moderator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 First, the influence of the total variables of caregiving experience on their quality of life  under controlling sub-variables of caregiving experience shows explanation power of 31.4% which is strong enough to prove the main effect statistically. Among the sub-variables, the most influencing one is financial problems followed by loss of physical strength, disrupted schedule, lack of family support and care-derived self-esteem in an order.    Second,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caregiving family’s quality of life under controlli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patient and the family shows the explanation power of 22.2% for bonding social capital, 4.3% for bridging social capital, 22.9% for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nd 21.7% for total social capital which all prove the main effect of social capital.    Third, as for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caregiving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the interaction variable of care-derived self-esteem and social capital is identified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same way, the interaction variable of loss of physical strength and social capital, and the interaction variable of lack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capital are proved significant statistically.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s several practical and political propos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from social welfare perspective. First, to improve care-derived self-esteem of family caregivers, Family meeting program is recommended. Second, to reduce loss of physical strength of family caregivers, Mentoring program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is suggested. Third, for reducing lack of family support, Hospice Day-care could take meaningful role. Fourth, to connect family caregivers with community network, utilizing volunteers is recommended. Fifth, to provide comprehensive caring services to family caregivers, local health care facilities, such as public health centers are requested to take more facilitating functionalities.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돌봄 경험의 영향력과,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 및,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남 및 부산 소재 일개 대학병원 호스피스병동 또는 일반병동에 입원하거나 통원치료를 받는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충남 소재 일개 요양기관에 입원한 말기 암환자의 가족과 암환자 가족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성인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254부를 수집하여 SPSS WIN 19.0, Amos 5.0 통계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방법은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돌봄 경험 및 사회적 자본의 주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돌봄 경험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돌봄 경험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환자 및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그리고 돌봄 경험의 하위변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돌봄 경험의 전체 변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31.4%의 설명력을 보여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돌봄 경험의 주효과가 입증되었다. 돌봄 경험의 하위변인에서는 경제적 부담의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신체적 부담, 생활패턴변화, 가족의 협조부족, 자아존중감 등의 순으로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환자 및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결속형 사회적 자본, 가교형 사회적 자본, 결속형 사회적 자본 및 가교형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22.2%, 4.3%, 22.9%, 21.7%의 설명력을 보여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결속형 사회적 자본, 가교형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의 주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돌봄 경험이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변수가 유의미하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신체적 부담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변수가 유의미하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가족의 협조부족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변수가 유의미하게 조절효과로 가능함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말기 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차원의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첫째, 말기 암환자 가족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가족모임(family meeting)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말기 암환자 가족의 신체적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한 돌봄 지원방안으로 지역사회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셋째, 말기 암환자 가족의 협조부족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 지역사회 단위의 호스피스 데이케어 확대 실시를 제시하였다. 넷째, 말기 암환자 가족과 지역사회 네트워크와의 연계를 위해 자원봉사자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말기 암환자 가족이 통합적인 돌봄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보조기관인 지역보건의료기관을 facilitator로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00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식세포 기증·수증의 공적 관리 및 지원 / 김은애 2009  175
2007 9 보건의료 에이즈(AIDS) 환자의 인권에 대한 한국교회 지도자의 윤리의식연구 : 생명의료윤리 입장에서 / 이용석 1999  175
2006 20 죽음과 죽어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김하늬 2019  174
2005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과 기계 의료 윤리 / 전대석 2018  174
2004 9 보건의료 한국 의료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한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관한 종단분석 / 이정민 2018  174
2003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분야의 연구데이터 공유 사례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2018  174
2002 22 동물복지 동물대체시험법 국내,외 동향 / 염영나 2010  174
2001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된 인간에서 복제된 인간으로 / 천현순 2016  174
2000 1 윤리학 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 최경진 2009  174
1999 19 장기 조직 이식 비혈연 조혈모세포 공여자의 기증 경험 / 유재연 2016  174
1998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조사 연구 / 김태은 2004  174
199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제해종 2015  174
1996 19 장기 조직 이식 Thrombomodulin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복제돼지 생산/이해선 외 2018  173
1995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자 임종 돌봄 봉사의 실제 / 송지환 2017  173
199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의사조력자살 간 경계에 관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외 2018  173
1993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연구 / 정희윤 2015  173
1992 5 과학 기술 사회 비정형 헬스케어 데이터 표준화 / 신수용 2018  173
1991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 김재선 2016  173
1990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개인정보 보호의 공법적 과제 2016  173
198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체세포 역분화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 iPS)의 의학적 효용성 / 박세필 2009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