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41958 
러시아와 한국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Comparison study on the regulation of drug approval between Russia and Korea

  • 저자[authors] 민경록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60 p. : 삽화, 표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의경<br>참고문헌 : p. 56-57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의약품,인허가,해외인허가,러시아,비교분석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241026)

초록[abstracts] 
세계 제약시장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반면에 국내 제약시장의 성장률은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제약사들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해외시장을 겨냥하는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으며, 많은 해외 국가들 중에서도 발전하는 보건의료시스템과 경제성장에 힘입어 빠른 의약품시장의 성장세를 보이는 소위 ‘Pharmerging' 국가 들은 좋은 목표가 될 수 있다.    'Pharmerging‘ 국가들 중에서도 러시아는 많은 인구와, 빠른 의약품시장의 성장률, 그리고 높은 수입의약품에 대한 의존도로 인해 매우 매력적인 시장으로 보이며, 증가하는 노인인구 성장률과, 그에 맞춰 발전하고 있지 못하는 자국의 의약품 생산기반은 수입의약품에 대한 의존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해외시장 진출에는 해당국가의 의약품의 허가 및 관리체계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지만 상이한 언어와, 상시 바뀌는 법령 때문에 이를 숙지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수출 대상 국가의 의약품 허가 및 관리체계에 대한 정보를 국내의 규정과 비교분석하여 국내 제약회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출을 증진을 도모함에 의의를 둔다.    제도비교를 수행하기에 앞서 기존에 나온 보고서와 선행논문을 분석하였다. 러시아의 의약품 허가체계에 관한 보고서와 러시아와 한국의 제도 일부를 비교한 선행논문에서 보완이 필요한 문항들을 별도로 정리하고, 제도비교를 하기 전 항복별로 해당되는 러시아법령을 참고해 내용을 보완한 뒤 제도비교를 진행하였다. 제도비교는 각국 규제기관, 임상시험의 승인, 품목허가, 제네릭의약품의 허가, 희귀의약품의 지정, 신속심사, GMP시설의 인증과 해외실사 등으로 선정했고, 관련 법령과 법령의 내용을 비교하여 비교표로 작성하였다.     제도비교 결과 한국과 러시아의 제도 중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의약품의 허가를 위해 러시아는 자국 내 임상시험 수행을 요구한다는 것과, GMP인증 실사를 의약품 허가기관이 아닌 타 기관에서 수행한다는 것, 타국과 달리 의약품의 품목허가를 위해 CTD양식을 사용하지 않고 자국 고유의 양식을 사용한다는것과,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사용한 임상1상의 제한등이 그것이다. 앞서말한 사항들은 국내 제약사의 러시아 진출에 제한적인 요소로서 작용할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혁신성이 높은 의약품을 대상으로 하는 신약심사가 러시아는 제네릭의약품에까지 적용된다 것과 더 가혹한 시험조건에서 수행된 한국의 안정성시험 자료를 인정해주는 점 등은 유리하게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의 의약품 허가·관리체계에 중심이 되는 법령은 대다수 영문으로 내용확인이 가능했으나, 몇몇 세부적인 법령들은 러시아어 원문으로 되어있어, 해외 의약품 인허가 제도 정보 전문 기관의 정보에 의존했다. 또한 법령의 모호한 부분이나, 실제 직무를 수행함으로서 알 수 있는 정보들은 국내 제약사와의 간담회를 통해 상당부분 자료를 수집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3028 15 유전학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 간의 분자적 기능적 연관성 연구 / Yun Ju Lee 2015  296
3027 23 연구윤리 생명과학 연구자들의 연구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 서은주 2008  296
3026 9 보건의료 중환자의 윤리적 쟁점들/문재영 2015  296
3025 12 낙태 임신중절에 관한 포털뉴스와 댓글 담론의 근거이론적 분석 / 김은진, 강주현 2019  295
3024 10 성/젠더 남성의 돌봄 참여 경험을 통한 성역할 규범의 변화 가능성과 한계 / 홍예슬 2018  295
3023 5 과학 기술 사회 교육콘텐츠 개발의 저작물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 / 이영음 2011  295
302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 강화학습을 이용한 무인 자율주행 차량의 지역경로 생성 기법 2014  295
3021 14 재생산 기술 형법상 낙태와 모자보건법상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이해/손영수 2010  295
302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5
3019 9 보건의료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 공정경쟁규약의비교법적 고찰 및 개선방안: 국제약업단체연합회 소속 협회 규약과의 비교를 중심으로/안효준 2015  295
3018 1 윤리학 로봇윤리 vs. 로봇법학: 따로 또 같이 / 김건우 2017  294
3017 9 보건의료 고령화 시대에 따른 보건의료 서비스 산업 현황 및 분석 / 김진광 2018  294
3016 15 유전학 미토콘드리아 분열 억제제인 mdivi-1의 처리가 돼지 배아 및 체세포에서 배발달과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지영 2014  294
3015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의사조력자살 / 허순철 2010  294
301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교육이 일반인의 연명치료중단 및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 총배령 2015  294
3013 15 유전학 18주 태아 뇌에서 발현하는 FB174 cDNA의 유전체 DNA 분리 및 염색체 위치 / 박수연 1999  294
3012 9 보건의료 최근 조류인플루엔자 현황과 바이러스 특성 / 이윤정 2016  294
3011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연구를 위한 단일법 제정에 대한 검토 / 양지예 2010  294
3010 19 장기 조직 이식 법률상의 장기분배기준 등의 정의론적 분석 :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출범 전 후 비교를 중심으로 / 김소윤 2002  294
3009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 판결 이후의 과제 / 박형욱 2012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