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41958 
러시아와 한국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Comparison study on the regulation of drug approval between Russia and Korea

  • 저자[authors] 민경록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60 p. : 삽화, 표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의경<br>참고문헌 : p. 56-57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의약품,인허가,해외인허가,러시아,비교분석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241026)

초록[abstracts] 
세계 제약시장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반면에 국내 제약시장의 성장률은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제약사들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해외시장을 겨냥하는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으며, 많은 해외 국가들 중에서도 발전하는 보건의료시스템과 경제성장에 힘입어 빠른 의약품시장의 성장세를 보이는 소위 ‘Pharmerging' 국가 들은 좋은 목표가 될 수 있다.    'Pharmerging‘ 국가들 중에서도 러시아는 많은 인구와, 빠른 의약품시장의 성장률, 그리고 높은 수입의약품에 대한 의존도로 인해 매우 매력적인 시장으로 보이며, 증가하는 노인인구 성장률과, 그에 맞춰 발전하고 있지 못하는 자국의 의약품 생산기반은 수입의약품에 대한 의존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해외시장 진출에는 해당국가의 의약품의 허가 및 관리체계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지만 상이한 언어와, 상시 바뀌는 법령 때문에 이를 숙지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수출 대상 국가의 의약품 허가 및 관리체계에 대한 정보를 국내의 규정과 비교분석하여 국내 제약회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출을 증진을 도모함에 의의를 둔다.    제도비교를 수행하기에 앞서 기존에 나온 보고서와 선행논문을 분석하였다. 러시아의 의약품 허가체계에 관한 보고서와 러시아와 한국의 제도 일부를 비교한 선행논문에서 보완이 필요한 문항들을 별도로 정리하고, 제도비교를 하기 전 항복별로 해당되는 러시아법령을 참고해 내용을 보완한 뒤 제도비교를 진행하였다. 제도비교는 각국 규제기관, 임상시험의 승인, 품목허가, 제네릭의약품의 허가, 희귀의약품의 지정, 신속심사, GMP시설의 인증과 해외실사 등으로 선정했고, 관련 법령과 법령의 내용을 비교하여 비교표로 작성하였다.     제도비교 결과 한국과 러시아의 제도 중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의약품의 허가를 위해 러시아는 자국 내 임상시험 수행을 요구한다는 것과, GMP인증 실사를 의약품 허가기관이 아닌 타 기관에서 수행한다는 것, 타국과 달리 의약품의 품목허가를 위해 CTD양식을 사용하지 않고 자국 고유의 양식을 사용한다는것과,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사용한 임상1상의 제한등이 그것이다. 앞서말한 사항들은 국내 제약사의 러시아 진출에 제한적인 요소로서 작용할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혁신성이 높은 의약품을 대상으로 하는 신약심사가 러시아는 제네릭의약품에까지 적용된다 것과 더 가혹한 시험조건에서 수행된 한국의 안정성시험 자료를 인정해주는 점 등은 유리하게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의 의약품 허가·관리체계에 중심이 되는 법령은 대다수 영문으로 내용확인이 가능했으나, 몇몇 세부적인 법령들은 러시아어 원문으로 되어있어, 해외 의약품 인허가 제도 정보 전문 기관의 정보에 의존했다. 또한 법령의 모호한 부분이나, 실제 직무를 수행함으로서 알 수 있는 정보들은 국내 제약사와의 간담회를 통해 상당부분 자료를 수집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688 1 윤리학 미국법의 현대적 과제 ; 미국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동향 / 김민우, 류화신 2015  432
3687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공서양속 / 이은영 2011  432
368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철인통치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플라톤의 ‘이상 국가(Kallipolis)’ 속 ‘... / 송석현 2018  431
3685 14 재생산 기술 인간 착상 과정에 자궁내막과 배아의 역할 / 지병철 2009  431
3684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1
3683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
3682 15 유전학 유전체 정보의 한우 육종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승수 2013  430
368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상률 2010  430
3680 14 재생산 기술 불임지원 활성화를 위한 불임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서유미 2009  430
3679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비인간 타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그녀』 를 중심으로 /송은주 2018  429
367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여호와 증인의 수혈거부사건을 둘러싸고-/박태신 2015  429
3677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고찰/김현철,김은애 2015  428
3676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28
3675 19 장기 조직 이식 두개의 이식편을 이용한 성인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발생한 담도 합병증에 대한 치료 / 정재필 2004  427
3674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
3673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367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6
3671 9 보건의료 국내 메르스(MERS) 사태가 남긴 과제와 법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소고(小考)/윤종태 2015  426
3670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6
3669 1 윤리학 생명윤리법 제조과정에 있어서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 한성구 2004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