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프랑스사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33653 
프랑스의 피임 자유화에 대한 보수와 진보의 사회갈등과 해소(1956-1974) 

= La résolution du conflit social entre Conservateurs et Progressistes sur la Libéralisation de la Contraception en France, 1956-1974

  • 저자[authors] 민유기(You-Ki M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프랑스사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38[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프랑스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7-12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피임(Contraception),가족계획(Family Planning),산아제한(Birth Control),경구피임약(Oral Contraceptive Pill),여성운동(Women’s movement),뇌비르트 법(Neuwirth Law)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20세기 중기 프랑스의 피임 자유화에 대한 보수와 진보의 사회갈등과 이의 해소 과정을 분석한다. 프랑스에서 출산증진주의 영향력 아래 제정된 1920년 법은 피임 도구 판매와 선전을 금지하였다. 1950년대 중반부터 여성운동가들은 가족계획 운동을 시작하면서 피임 자유화를 요구하였고 급진당과 사회당이 이를 지지하였다. 반면 가톨릭교회, 출산증진주의자, 의사협회는 이에 반대하며 사회적 갈등을 일으켰다. 피임 자유화에 반대하던 공산당은 1965년에 입장을 바꾸었고, 일부 우파 정치인도 피임을 낙태 예방수단으로 지지하였다. 1967년에 제한적 피임 자유화 법이 제정되었으나 수년 간 인구 감소가 없었다. 이에 완전한 피임 자유화법이 1974년에 제정되었다. 피임 자유화는 여권과 민주주의를 신장시켰고, 20세기 프랑스 여성의 삶에 가장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ocial conflicts between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with regard to the liberalization of contraception, and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onflicts in France in the mid-20th century. Since the mid-1950s, female activists launched a family planning campaign and called for the contraception liberalization supported by the Radical Party and the Socialist Party. In response to this demand, the Catholic Church, those who promote childbirth, the natalist association and the doctors" association caused social conflicts. The Communist Party which had advocated the legalization of abortion, opposed to the liberalization of contraception, but changed its position in 1965. The limited liberalization of contraception law was enacted in 1967 and the full liberalization of contraception was realized in 1974. The liberalization of contraception is considered to have extended women"s rights and democracy and brought about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n women"s life.]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들어가며  II. 출산증진주의와 전후 베이비붐  III. 가족계획운동과 피임 자유화 요구  IV. 피임 문제에 대한 보수와 진보의 갈등  V. 피임 자유화 입법  V. 나오며  참고문헌  〈Résumé〉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48 2 생명윤리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 유학 생명윤리와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원리 고찰/손보미 2016  421
3647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1
3646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2014  421
3645 12 낙태 저출산 '문제'의 담론적 구성과 정책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강은애 2019  420
364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배 2017  420
3643 13 인구 장래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김미경 2016  420
3642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2011  420
3641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3640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2018  419
3639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2015  419
3638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19
3637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적중 Mouse 제작 기술의 개발 / 전지선 2014  419
363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2009  419
3635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2014  419
3634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노승현 외 2019  418
3633 9 보건의료 의료사고의 안티 포렌식 범죄 기법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엄민수 2018  418
3632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363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이식 후의 원발성 피부암 발생률 분석 / 박경훈 2010  418
3630 1 윤리학 새로운 치료법 도입과 관련된 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 신정원 2011  418
362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