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인구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51890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Population Policy in Korea - a Human-Rights Perspective -

  • 저자[authors] 전광희(Jun, Kwang-H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인구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1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인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구정책,인권의 관점,성·출산의 권리,초저출산,루마니아 차우세스쿠 시대,인공임신중절,출산근접요인,Population Policy,Human-Rights Perspective,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Lowest-Low Fertility,Era of Ceau?escu in Romania,Pro-natalist Policy,Induced Abortion,Proximate Determinants of Fertility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인구정책을 인권의 관점에서 생각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다. 일반적으로 인구정책은 출생, 사망, 이동이라는 개인의 행동이 집단적으로 표출된 결과가 사회문제로 인식될 때,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인구정책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목적을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정책수단을 검토하고, 인구정책이 개인의 행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인권의 문제가 결부되는 만큼 그와 관련된 인권문제를 검토한다. 또,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사상을 살펴보고, 인구정책과 관련하여 1970년대 루마니아의 차우셰스쿠 시대를 회고하면서, 한국의 출산장려정책과 인권문제의 딜레마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권침해의 가능성이 있는 인구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정립할 필요성을 강조하도록 한다. 한국의 초저출산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여성의 권리, 특히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는 방법으로 인구정책이 시행되는 것은 곤란하며,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출산억제시대의 비민주적 행태를 반복하는 것으로, 그것은 인구정책의 적폐(積弊)라고 할 만하다. 여성들의 “출산의 권리”(reproductive right)를 제한하여, 원치 않는 임신에 대해서도 낙태금지를 법제화하는 방식으로는, 초저출산 문제가 일시적으로 극복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지속가능한 인구체제를 만들어내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더 많은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음을 지적한다.

This paper aims to think about population policies from a human-rights perspective. Generally, population policies are attempts to find solutions to social problem when collective expression of individual demographic behavior such as fertility, mortality, migration are designated as social problems. This study reviews policy definition and tools, and the relevance of human rights perspective for population policies, as wells as the evolution of population thoughts on human rights, and proceed to reflect on the era of Ceaușescu in Romania, when pronatalism and decree 770 criminalize induced abortion in 1970s.    This study gives a strong emphasis to the fact that we need to redirect population policy to find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conflict between population target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In this regard, population policies should not accumulate past non-democratic, authoritarian practice as a way of coping with the ultra-low fertility facing this country. Instead, the government should pursue population policies which include greater concern with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of women concerned, as well as western family-based policies particularly on financial incentives and work-life balance.]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인구정책의 정의와 수단  Ⅲ. 인권과 인구정책  Ⅳ.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사상  Ⅴ. 한국의 낙태규제 논란과 루마니아 차우세스쿠 시대의 교훈  Ⅵ. 한국의 최저출산 전환과 인구정책의 재정립  Ⅶ. 종합과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48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정책의 정책변동과 정책네트워크 역동성 분석 / 김인자 외 2017  104
3647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기기 유통에 관한 정책 및 법제 고찰 / 김정진 2017  104
3646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4
3645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관리 방안 / 조비룡 2018  104
3644 9 보건의료 구글이 선택한 바이오 기업들 / 민세주 2018  104
3643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3642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4
3641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4
3640 1 윤리학 [법률상식] 사이버권리 침해 분쟁사례와 대응방법 / 김민주 2017  105
3639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형사법적 검토 / 안성준 2010  105
3638 9 보건의료 증강현실을 이용한 응급환자 의료서비스 향상 모델 설계/정윤수 외 2017  105
3637 9 보건의료 국내 희귀의약품의 현황 및 과제 : 희귀질환에 대한 의약품 공급을 중심으로 / 김희은 2008  105
3636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5
3635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방문한 환자에서 수면질이 제 2형 당뇨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정아 2014  105
3634 15 유전학 유전자가위의 개발과 활용 / 김석중 2018  105
3633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 생성정보의 처리 체계 - 추론된 정보의 처리에 관한 우리 개인정보보호법의 규율과 개선 방안에 관한 고찰 / 박광배 외 2017  105
3632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성민 2018  105
3631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2017  105
3630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2018  105
3629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