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27151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Perception on Abortion among Korean Men in their 20s and 30s

  • 저자[authors] 김금남(Geum-Nam Kim),김계하(Kye-Ha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3[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85-29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낙태,성인,남성,인식,Abortion,Adult,Men,Perception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와 J도에 거주하는 성인남성 140명이 선정되었다. 선정기준은 (1) 20∼39세; (2) 한국어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자; (3)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는 자; 그리고 (4)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동의한 자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낙태관련 인식을 포함한 구조화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이루어졌다. 기술통계와 chi-square test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67.1%가 낙태와 관련하여‘이유에 따라서는 낙태를 해도 된다고’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태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 생각하는 것은‘피임교육’이 68.6%로 가장 많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낙태관련 요인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낙태교육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Korean men in their 20s and 30s perceive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e hundred fort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male adults in G city and J area.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s follows: (1) men were between 20 to 39 years old; (2) were able to read and understand Korean; (3)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4) agreed voluntarily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study instrument, and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erception of abor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ne 2016. Descriptive statistics and Fisher exact test were used for analysis. 67.1%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people can have abortion under some circumstances’. The results found that ‘education about contraception (68.6%)’ was widely regarding among the subjects as the best way to prevent abortion.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responses depending on a subject’s some characteristics. Our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offer education program about abortion for young men.]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최윤정

발행년 2010 

  • 조회 수 422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발행년 2016 

  • 조회 수 422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422

12 낙태 저출산 '문제'의 담론적 구성과 정책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강은애

발행년 2019 

  • 조회 수 421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42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발행년 2011 

  • 조회 수 421

13 인구 장래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김미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421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발행년 2014 

  • 조회 수 42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배

발행년 2017 

  • 조회 수 420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0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발행년 2006 

  • 조회 수 420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발행년 2011 

  • 조회 수 420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노승현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419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료산업의 미래전략 / 양윤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419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적중 Mouse 제작 기술의 개발 / 전지선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발행년 2009 

  • 조회 수 419

1 윤리학 새로운 치료법 도입과 관련된 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 신정원

발행년 2011 

  • 조회 수 41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발행년 2005 

  • 조회 수 419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