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과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58160 
생체 외 및 생체 내 실험조건에서 나노화 벌 화분의 안전성 규명 

= Safety of Nano-sized Bee Pollen in both In-vitro and In-vivo Models

  • 저자[authors] 편해인(Hae-In Pyeon),소수정(Soojeong So),박지아(Jia Bak),이승현(Seunghyun Lee),이승민(Seungmin Lee),서화진(Hwa-Jin Suh),임제오(Je-Oh Lim),김정우(Jung-Woo Kim),김선연(Sun Youn Kim),이세라(Se Ra Lee),이용현(Yong Hyun Lee),정일경(Il Kyung Chung),최윤식(Yun-Sik Choi)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과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8No.5[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과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05-61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Bacterial reverse mutation,bee pollen,chromosomal aberration,micronucleus assay,single dose toxicity

초록[abstracts] 
[벌 화분은 영양보조제와 전통의약품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벌 화분은 두터운 외피를 갖고 있어 산이나 알칼리는 물론 위장관의 소화효소와 기계적 압력에 의해서도 잘 파괴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벌 화분을 경구로 섭취할 때 생체이용률은 10-15%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진은 이전의 연구에서 습식나노분쇄 기술을 소개하였고 이를 통해 활성성분의 추출률이 약 11배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습식나노분쇄를 통해 제조한 나노화 벌 화분의 안전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흰쥐와 비글견에서 단회 투여 독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나노화 벌 화분의 투여 용량은 흰쥐는 5, 10 또는 20 g/kg, 비글견은 1.5, 3 또는 6 g/kg으로 설정하였다. 흰쥐에서는, 10 g/kg 또는 그 이상의 용량을 투여한 동물에서 색변이 관찰되었다. 비글견에서는 6 g/kg 투여군에서 나노화 벌 화분 투여 4시간 후에 설사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흰쥐와 비글견 모두에서 뚜렷한 임상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안락사 후 부검을 진행한 결과에서도 장기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나노화 벌화분의 유전독성을 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이상시험 및 소핵시험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소핵시험에서는 시험에 사용한 최대용량인 2,000 mg/kg에서도 독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염색체이상시험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최고 농도에서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종합하면 나노화 벌 화분은 본 실험에서 설정한 최고 용량인 20 g/kg/day의 용량까지는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나노화 벌 화분을 기능성 식품 또는 천연물 의약품으로 개발하는 데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Bee pollen has an outer wall which is resistant to both acidic and basic solutions and even the digestive enzym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erefore, the oral bioavailability of bee pollen is only 10-15%. A previous study reported on wet-grinding technology which increased the extraction of active ingredients from bee pollen by 11 tim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wetground bee pollen. First, a single dose of wet-ground bee pollen was tested in both rats and beagle dogs at dosages of 5, 10, and 20 g/kg and 1.5, 3, and 6 g/kg, respectively. In rats, compound-colored stools were found in those administered 10 g/kg or more of wet-ground bee pollen. In beagle dogs, 6 g/kg of wet-ground bee pollen induced diarrhea in one male for four hours. However, no obvious clinical signs were found through the end of the experiment in rats and beagle dogs. In addition, no histological abnormality was found in all animals. The data indicates that a single dose of up to 20 g/kg of wet-ground bee pollen is safe. Next, the genetic toxicity of nano-sized bee pollen was tested. This study employed a bacterial reverse mutation test, a micronucleus assay, and a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In the micronucleus assay, there was no genetic toxicity up to the dosage of 2 g/kg. There was also no genetic toxicity in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test and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This data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in developing nano-sized bee pollen into more advanced functional foods and herbal medicines.]

목차[Table of conten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초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28 14 재생산 기술 <네버렛미고>를 통해본 복제 인간 윤리 / 김미혜 2017  526
727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72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원칙에 근거한 인간대상연구의 개인정보보호방안 모색 / 백소영 2016  527
725 20 죽음과 죽어감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 입원 노인의 연명치료 현황 / 박수현 2016  527
72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혈중 Visfatin 농도와 식욕부진의 관계 / 이소진, 이준용, 최윤선, 이준영 2014  528
72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성년후견인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김나래 2014  529
722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9
721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혜경 2004  529
720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719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718 22 동물복지 피터 싱어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의미 / 김대현 2014  530
71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
716 14 재생산 기술 생명의료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여성의 재생산권리에 관한 연구 : 생식세포 기증 및 보조생식술에 관한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08  531
71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1
714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문제해결 중심의 접근과 도덕적 추론/이재숭 2013  531
713 5 과학 기술 사회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간 지휘·협력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세월호, 메르스, AI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 황요한 2018  531
71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동의과정에서 피험자 보호 방안 / 이연진 2013  532
711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장원경 2012  532
710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32
709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 / 최령, 황병덕 2012  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