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민법상 친자관계의 결정 / 우병창

1 윤리학 조회 수 139 추천 수 0 2018.07.19 16:35:2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37032 
민법상 친자관계의 결정 
= The Determination of a Paternity Relationship in the Korean Civil Act

http://www.riss.kr/link?id=A105337032

  • 저자[authors] 우병창 ( Byoung Chang Woo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학논총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2No.1[2018]

  • 발행처[publisher]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95-21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친자관계, 부성추정, 친생부인, 인공수정, 대리모, 자녀의 복리, paternity relationship, paternal determination, denial of paternity of children, artificial insemination, surrogate mother, welfare of children


  • 초록[abstracts] 

[친자관계는 일반적인 재산관계와 달리 ‘사랑’과 ‘혈연’을 기초로 하는 생활관계이다. 현행 법제도는 친자관계의 인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과거에는 혈연만으로 친자관계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었으나. 과학과 의료기술의 발달은 이를 점점 곤란한 지경에 빠지게 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친자관계는 더이상 혈연만으로 결정할 수는 없게 되었고, 관계자의 의사까지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2015년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2017년에 민법이 개정되었지만 그간의 문제점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부자관계의 결정이 과학에 대한 의존도가 늘어난 것은 ‘자녀의 복지’를 중시하는 현대가족법의 경향에 비추어 보았을 때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과학적 방법으로 유전적 부자관계는 쉽게 증명할 수 있겠지만 부자 사이의 법적 문제까지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본다. 종전처럼 혈연에 의해서만 부자관계를 결정할 것이 아니라 자녀(아동)의 권리보장과 과학의 발달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한 기준과 방식에 의해 부자관계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어느 경우이든 부자관계의 결정을 좌우하는 최고의 기준은 ‘자녀의 복지’가 되어야 할 것이다., 

Paternity is a relationship based on love and kinship, unlike a property relationship. The current legal system provides various ways to determine paternity. What standards would be used to determine paternity between father(or mother) and child? Will ties of blood continue to be a basis for relationship between father(or mother) and child? Or will it extend the case if left to the intention of parties?  This paper will consider a presumption as husband’s child, an affiliation and a legitimation, decisions of paternity by a artificial insemination and a surrogate mother, an existence of paternity and legal principles of lapse, revisions of the Korean Civil Act.  The 2017 revision of the Korean Civil Act, while reflecting the gist of the decision of incompatibility with the Constitution which was made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n April 30, 2015, balanced blood relations, intention and the benefits of children. However, if a marriage is virtually broken and a child is given birth by a non-legal spouse, then is there a presumption as husband’s child?  In the past, blood relation was the only option for a parent to make a decis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it has lost its ground. In modern societies, blood is not the only basis of paternity. Paternity must be determined comprehensivel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tention of the parties concerned as well. The Korean Civil Act was revised in 2017 in accordance with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2015, but the problems so far have not been fully resolved. Some topics(a AID method of an artificial insemination, a surrogate mother and many others) still remain as problems.  It is not desirable for a father(or mother)-child relationship decision to be made based more on science in light of the trends in the morden family law emphasizing the welfare of children. A father(or mother)-child relationship based on genetics can easily be shown in scientific ways, but that is not the best way to solve the legal problems arising from the paternity relationship.]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연명치료중단 판례와 입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3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 있어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역할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규제법 비교 / 박수헌

발행년 2013 

  • 조회 수 413

2 생명윤리 동물보호를 위한 윤리적 근거와 방안 / 김대군

발행년 2000 

  • 조회 수 412

10 성/젠더 형사법상 성적 자기결정권 본질 및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증진을 위한 입법과제 검토 / 윤덕경

발행년 2012 

  • 조회 수 412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발행년 2013 

  • 조회 수 412

12 낙태 상권 : 낙태와 헌법 -헌재 2010헌바402결정과 관련하여- / 박승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2

1 윤리학 동물실험 교육과정에서 윤리교육 강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유동미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1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411

9 보건의료 만성질환 의료이용 분석과 개선방안 -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 / 박은자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10

10 성/젠더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 남궁선

발행년 2008 

  • 조회 수 41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원리형량 : 로버트 알렉시의 원리형량론을 중심으로 / 장희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0

9 보건의료 의료법 개정에 따른 의사의 설명의무책임에 대한 연구 : 의료법 제24조2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권영직

발행년 2018 

  • 조회 수 408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체험 / 장유하

발행년 2018 

  • 조회 수 40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있어 전자동의(Electronic Informed Consent) 획득: 미국 지침에 따른 고려사항을 중심으로/김은애

발행년 2015 

  • 조회 수 408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발행년 2010 

  • 조회 수 408

9 보건의료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 이수정

발행년 2017 

  • 조회 수 40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보험상품 개발 / 김석영, 이선주

발행년 2016 

  • 조회 수 407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발행년 2015 

  • 조회 수 407

12 낙태 태아를 위한 기독교 윤리학적 책임과제 / 강요한

발행년 2002 

  • 조회 수 407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 박진성

발행년 2010 

  • 조회 수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