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65312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Recognition of the surrogate motherhood shown in the records of nanny written by intellectual men in the late Chosun Dynesty



  • 저자[authors] 서경희(Seo kyung h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5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39-37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810
  • 주제어[descriptor] 유모,모성,대리 모성,가족,nanny,motherhood,the surrogate motherhood,family


  •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이 남긴 유모 관련 기록들에 나타난 대리 모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모의 사후에 쓰인 남성지식인들의 기록은 대체적으로 유모의 삶 가운데 자신과의 인연을 중심으로 서술되며 유모로서의 근면함이 덕성으로 강조된다. 그 가운데 드러나는 유모의 현실은 본인의 자식이나 남편과는 정서적으로 친밀한 가정을 이루지 못하고 가혹하게는 자식을 잃는 경우도 생기며, 낮은 신분과 빈곤한 경제사정으로 인해서 모성의 전이가 강제되어 보살피는 아이에게 모성을 소진하고 정성과 바람을 투사하는 것이었다. 유모의 노역을 담당하는 인물들의 이러한 행동들은 기록자에게 주인 집안의 가족 일원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진정성으로 기억되기보다는 주인 집안에 대한 충성으로 읽혔다. 그러나 이러한 남성 지식인들의 글에서 유모에게 기대하는 자질이나 미덕과는 달리, 유모를 수유나 양육을 담당하는 대리모성으로서 사용 가능한 소유물로만 판단하지 않고, 본인과 그 가족까지 아우른 관계 속에서 모성을 가진 한 인간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존재했다. 유모의 노역을 하는 여성의 실체를 그 삶의 질곡 속에서 분명하게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선은 신분적으로나 젠더면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기 힘든 대리 모성에 대한 이해를 드러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surrogate motherhood in the records of nannies left by the male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records of male intellectuals written after the death of the nanny generally describe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order in the life of the nanny, and the diligence as a nanny is emphasized by virtue. The reality of the nanny revealed in it is that it does not form an emotionally familiar family with the child or the husband, and the child is killed severely. And the nanny is forced to transfer maternity because of low status and poor economic circumstances, so that she exhausts maternity and projects qualities and winds to the child she cares for. These nanny behaviors are read as loyalty to the owner s family, rather than being remembered as authenticity that can be accepted as part of the employer s family. However, unlike the qualities and virtues expected from a nanny in these male intellectuals writings, a nanny is not regarded as a possession to be used as a substitute maternity for breastfeeding or nurturing, There was also a gaze in relationship with her family as a human being with maternity. This gaze reveals an understanding of the surrogate motherhood, which is difficult to give a voice in terms of status and gender.]


  •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1. 서론 2. 유모에 대한 현실적 인식과 당위적 예제(禮制) 3. 유모 기록에 나타난 추모의 방식과 이면의 삶 4. 대리 모성에 대한 재인식의 가능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883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2018  165
882 9 보건의료 여성주체가 겪는 고통과 치유 / 노성숙 2018  296
881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2018  106
880 24 기타 생명정보 분야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안부영 외 2009  69
879 2 생명윤리 바이오뱅크와 포괄적 동의 / 김문정 2012  73
878 2 생명윤리 바이오 뱅크의 윤리적 쟁점 / 이상욱 2012  245
877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 거버넌스 / 신미이 외 2016  102
876 23 연구윤리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동향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2017  67
875 9 보건의료 한국인 고혈압 환자의 의료접근성 및 미 충족 의료실태와 위험요인 분석 / 오희영 외 2017  120
874 9 보건의료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장선주 외 2017  155
873 9 보건의료 고혈압 약제의 올바른 사용: 증례를 통한 접근 / 박성하 2018  109
87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중심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59
871 9 보건의료 만성질환 의료이용 분석과 개선방안 -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 / 박은자 외 2016  413
870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 김명숙 외 2018  120
869 1 윤리학 노인복지시설의 신체안전관리 실태 및 대책방안에 관한 연구 / 김두현 2018  235
868 9 보건의료 사용자의 의료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킨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 김예림 외 2018  1042
867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4
866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법상 대리모계약으로 출생한 자의 부모결정기준과 자녀의 복리 / 서종희 2017  132
865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1
»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