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158685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 Completion and Related Factors of Advance Directives in old adults

  • 저자[authors] 김명숙(Myung Sook Kim),강문희(Moonhee Gang),김연옥(Yeon-Ok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40-24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 노인,사전연명의료의향서,지식,인식,태도,Old Adult,Advance Directives,Knowledge,Awareness,Attitude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AD) 작성의도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D 광역시에 거주하며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196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2월 8일에서 12월 19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χ²-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 중 AD 작성 의도를 가진 경우는 58.2%였다. AD 작성의도에 따라 연령(χ²=4.92, p=.020), 독거상태(χ²=4.72, p=.030 ), 주관적 건강상태(χ²=3.97, p=.046), AD에 대한 인식 (t=-4.81, p<.001) 및 죽음에 대한 부정적 태도(t=2.01, p=.04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AD 작성의도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AD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OR=11.87, p<.001, 95% CI=3.52~39.94). 따라서 노인의 AD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AD 작성 의도의 주요 예측변수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letion and related factors on Advance Directives (AD) in olde adult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96 old adults, 65 and over aged in D metropolitan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22.0 program. The rate of completion intention toward AD was 58.2% in the participants. There were different age, Living alone, subjective health status, awareness toward AD,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death by completion intention toward AD. In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redictors of completion intention toward AD was awareness toward AD in old ad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that positive awareness toward AD can predict completion of AD of healthy old adults in community.]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28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역할인식, 간호스트레스 및 태도 / 이수정 2016  349
1327 18 인체실험 치과 임상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줄기세포 연구의 동향 / 전민수 2011  349
1326 15 유전학 GMO 식품에 나타난 유전자 조작 기술의 기독교 윤리적 비판-유전자 조작 기술 시대의 자연 및 인간의 ‘수평적 동등성’ 회복을 위해 / 김광연 2017  349
132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 송지수 2015  349
13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사례비교 및 존엄사의 정당화 가능성 연구 : 故 김수환 추기경과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례를 중심으로 / 권혁남 2010  349
1323 10 성/젠더 칸트 성윤리의 구조와 재구성 / 김은희 2018  349
132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시대의 형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이건필 2019  349
1321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태도, 정신건강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황정옥 2019  349
1320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50
131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 이영주 2015  350
1318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과 헌법- 인간의 존엄, 연구의 자유 그리고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조홍석 2015  350
1317 9 보건의료 건강보험 수가정책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백현영 2014  350
1316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2010  350
1315 9 보건의료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졸피뎀 약물 유해반응 실마리 정보 검출 / 한준우 외 2018  350
1314 15 유전학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 홍남희 2015  351
1313 9 보건의료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김유호 2011  351
131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이현주 2003  351
1311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료비에 미치는 효과와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2017  351
1310 20 죽음과 죽어감 셸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응답 /백충현 2018  351
1309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연명치료중단행위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이백휴 2010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