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15727 
생명정보 분야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f Bioinformation Website Services

  • 저자[authors] 안부영,이응봉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0No.1[2009]
  • 발행처[publishe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7-18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9

초록[abstracts]
[As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evolved and the human genome project is finalized over the world, the Bioinformatics - the integration of abundant Biological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 has shown up and is continuously being advanced. Together with the evolution of Bioinformatics, the websites dealing with Bioinformation have been set up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to the Bioscientists. Among the numerous global websites, the preferred websites by the majority of domestic Bioscientists are BRIC(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of POSTECH(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CCBB(Center for Computational Biology and Bioinformatics) of KISTI(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OBIC(Korean Bioinformation Center) of KRIBB(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in USA, EBI(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 in Europe and DDBJ(DNA Data Bank of Japan) in Japan. In this paper,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executed by investigating contents status and functions of the above-mentioned 6 websites. In addition, questionnaire survey of Bioscience Researchers' utilization status and their needs to those 6 websites was conducted.

전 세계적으로 정보기술이 발달하고 인간유전체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대용량 생명과학과 정보기술이 접목된 생명정보학(Bioinformatics, 바이오인포매틱스)이 등장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의 발전과 더불어 생명정보서비스를 위한 웹사이트가 구축되어 생명과학 연구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전 세계의 수많은 생명정보서비스 웹사이트 중에서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웹사이트로는 우리나라의 포항공과대학교 생물학연구전문정보센터(BRIC),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바이오인포매틱스센터(CCBB),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KOBIC), 미국의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NCBI), 유럽의 생물정보학연구소(EBI), 일본의 DNA데이터은행(DDBJ)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6개 웹사이트의 콘텐트 현황 및 기능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생명과학 연구자를 대상으로 이용현황 및 요구사항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08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자기위태화 / 김혁돈 2013  69
4207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 헬스케어 존을 활용한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재익 외 2018  69
4206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2018  69
» 24 기타 생명정보 분야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안부영 외 2009  69
4204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4203 7 의료사회학 전문직 윤리 교육의 이해 / 권복규 2016  69
4202 23 연구윤리 연구의 성과와 연구윤리/ 정재우 2018  69
4201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이영성 2018  69
4200 9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의한 농촌 환경 의료 관심 트랜드 분석 /황상원 2018  69
4199 9 보건의료 일본 정밀의료 관련 법제의 현황과 함의 / 이기호, 김계현 2018  69
4198 10 성/젠더 베트남여성과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변화 / 권금상 2018  69
4197 4 보건의료 철학 전공의 윤리 교육 / 전재범 2019  69
4196 17 신경과학 의식에 대한 신경철학적 논란과 교육인식론의 과제 / 한일조 2019  69
4195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건강정보이해력 연구동향과 정책과제 / 이 민 외 2018  69
4194 1 윤리학 정신적으로 제약이 있는 자의 자기 결정권 보호를 위한 법제 / 배현아 2013  70
4193 14 재생산 기술 인체유래물질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양윤선 2009  70
4192 15 유전학 생명공학의 사회적 차원들 / 김동광 2004  70
4191 9 보건의료 환자만족도 제고와 일차의료 기관 활성화를 위한 의료전달체계 적정화 연구 / 오동일 2016  70
4190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생명연장의 전제조건 / 이동식 2000  70
4189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2014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