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89227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Systema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Minority Orientation and Suicide Risk

  • 자[authors] 김형지(Hyeong Ji Kim),김향숙(Hyang Sook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7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심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5-22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성적 소수자 지향성,자살 위험성,Sexual Minority Orientation,Suicide Risk

초록[abstracts] 
[기존 연구에 따르면 성적 소수자 지향성은 이성애적 지향성보다 더 높은 수준의 자살 위험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된다. 자살이 개인 및 사회에 미치는 치명적 영향을 고려컨대 이는 매우 주목할 만한 결과이며,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 관계에 대한 면밀한 조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PsycINFO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학술 논문 중 성적 지향성 및 자살을 다룬 상호심사 논문을 평정 절차에 따라 선별․분석함으로써 두 변수 간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성적 지향성과 자살을 주요 변인으로 다룬 학술 논문의 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분석 대상 논문에서 사용된 연구 방법은 크게 실증 연구와 이론 및 개관 연구로 구분하였으며, 실증 연구는 다시 양적, 질적 및 메타 분석적 연구로 세분화하였다. 메타분석적 연구를 제외한 실증 연구에서 다룬 연구 참가자의 성적 지향성은 Lesbian, Gay, and Bisexual(LGB), Heterosexual(H), Questioning/Unsure(Q), Lesbian and Gay(LG), 그리고 기타의 5가지 범주였다. 분석 대상 논문의 연구내용은 크게 성적 지향성 및 자살 행동 간의 관계와 이에 관한 매개변인 및 조절변인의 세 범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과 향후 관련 연구에 대한 필요성 및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sexual minority orientation is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suicidal behaviors than heterosexual orientation. Considering the gravity of the consequences of suicide, the above results deserve further investigation by researcher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and suicide risk by analyzing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registered in PsycINFO database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16 inclusi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journal articles on sexual orientation and suicide has been on the rise over time. The research methods of the literature wer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empirical research and theoretical/literature review, and the former is subdivided into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eta-analytic research. Except for the meta-analytic research, the sexual orientation self-reported by people who participated in empirical research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Lesbian, Gay, and Bisexual(LGB), Heterosexual(H), Questioning/Unsure(Q), Lesbian and Gay(LG), and others. The content of entire papers this article includes largely falls into three categor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and suicidal behaviors and mediating and moderating factors which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ientation and suicidal behaviors. Finally, encapsulated results of the current article as well as the need and direction of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목차[Table of content] 방법  결과  논의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9 보건의료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 개발 / 고진경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8

9 보건의료 건강한 사람 대상 임상시험의 윤리적 위험성 최소화 방안 연구 / 방성윤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7

9 보건의료 임상시험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창업 / 이윤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98

9 보건의료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실습 교재 개발 / 은진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71

23 연구윤리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동향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 거버넌스 / 신미이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2

2 생명윤리 바이오 뱅크의 윤리적 쟁점 / 이상욱

발행년 2012 

  • 조회 수 241

2 생명윤리 바이오뱅크와 포괄적 동의 / 김문정

발행년 2012 

  • 조회 수 73

24 기타 생명정보 분야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안부영 외

발행년 2009 

  • 조회 수 69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4

9 보건의료 여성주체가 겪는 고통과 치유 / 노성숙

발행년 2018 

  • 조회 수 296

20 죽음과 죽어감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함의 / 티모파르토넨

발행년 2018 

  • 조회 수 162

9 보건의료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 사업 동의의 결과와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 / 김호중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55

20 죽음과 죽어감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상징적 자살의 윤리학 / 조소명

발행년 2018 

  • 조회 수 21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 2015년 한국복지패널조사를 이용하여 / 김지혜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256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비인간 타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그녀』 를 중심으로 /송은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429

1 윤리학 저작권침해소송에서 저작물성 여부에 관한 중간판결(中間判決)의 의미와 실효적 운용방안 /차상육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인공지능 기반 국방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체계 기술 개발/심우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 간호사의 섬망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도의 관계 /장보정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21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 완화의료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PR전략 탐색 /김병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