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94622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http://www.riss.kr/link?id=A105294622


  • 저자[authors] 이민정,김성민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2No.2[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7-11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부작용피해구제, 의료기기, 부작용, Social relief, Medical Devices, Adverse Event


  • 초록[abstracts]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하여 기존에 존재하는 구제방법인 자력구제, 행정구제, 사법구제로는 피해와 부작용 사 이의 인과관계 입증의 어렵다. 의료기기 기업의 분쟁 해결방법 미비로 피해자들은 보상 혹은 배상을 현실적으로 받 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피해자들에게 신속한 보상을 통해 구제하는데 목적을 둔 의료기기 피해구제제도 도입하 고자 약사법 제86조를 근거로 2014년 12월에 시행된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현황 파악 및 의약품과 의료기기 특성, 부작용 보고제도 비교, 국외 부쟉용 피해구제제도 현황 및 분석을 통해 국내 제반사정에 맞는 도입방안을 도출 하였다. 의료기기피해구제제도는 국민에게 의료기기 부작용으로 발생한 피해를 신속히 구제하기 위함이라는 목적 하 에 피해 의료기기 이상사례 데이터베이스가 활성화되고 데이터 정보를 통한 부작용 분석 및 평가가 상당한 수준으로 성숙했을 때 도입되어야 구제업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구제 품목은 위해도가 높은 4등급 의료기기 부터 점차적으로 보장범위를 확대시행하며, 구제금은 국내 의료기기 제조·수입업체 국내 생산수입액의 일부를 부과 할 수 있다. 또한 구제절차에서 의료기관 위탁 연구를 통해 임상적 근거 확보 후 인과관계에 따라 구제를 진행하는 방식을 도출하여 균등하고 합리적인 제도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의료기기 피해구제제도 도입 을 통해 피해자에게는 소송에 대한 입증책임의 부담완화, 신속한 구제 의료인에게는 적극적인 의료 행위 보장, 기업 에게는 막대한 손해배상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I. 서론   II. 본론    1.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방법 및 현황    2. 제약 및 의료기기 산업 특성 비교 및 분석    3.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 특징 비교    4.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 보고제도 현황    5. 국내외 의약품 피해구제 제도 동향    6. 국외 의료기기 피해구제 제도 현황    7. 국내 의료기기 피해구제제도 도입방안   III. 결론   감사의 말씀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908 5 과학 기술 사회 人工知能(로봇)의 법적 쟁점에 대한 試論的 考察 / 김윤명 2016  457
90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에서 비혈연 골수이식을 위한 골수공여자등록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 양윤선 1999  459
906 15 유전학 조혈모세포이식 이후 발생한 UL97 유전자 597-600 해독틀내 결실이 있는 Ganciclovir 내성 거대세포바이러스 대장염 1예 / 성흥섭 2015  459
905 1 윤리학 개인정보의 정의와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개인정보"에 관한 헌법적 및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김민성 2015  459
904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903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최행식, 송영민 2011  460
902 16 환경 기후변화가 식중독 및 수인성 질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잠재적 영향 분석 / 윤시몬 2013  460
901 12 낙태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 조사 / 김동식 외 2017  460
900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
899 12 낙태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영 2003  461
89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주 등록제도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4  462
897 18 인체실험 피험자 권리에 근거한 연구윤리 / 임선우 2010  462
896 1 윤리학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 환경형법의 인과관계와 행위자의 특정 / 조병선 2014  462
895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894 1 윤리학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정진연 2009  464
893 2 생명윤리 현대사회와 생명존중사상 / 송승현 2018  464
892 10 성/젠더 개발도상국 여성의 건강불평등 현황과 원인, 윤리적 이슈 및 해결책 고찰 / 이상미 외 2018  464
891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와 전문직 교육- 미시적 접근에서 거시적 접근으로/손화철, 송성수 2007  465
89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
889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와 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 이선화 2014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