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150784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

  • 저자[authors] 유은영,양유정,정은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디지털융복합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5No.5[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41-25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죽음인식, 고통불안, 죽음불안, 내세불안, 대학생, Death awareness, Pain anxiety, Death anxiety, Afterlife anxiety, College students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 태도와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죽음의 태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 2015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G지역 대학생 31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죽음인식 수준은 2.04점으로 보통수준이며, 평균점수는 고통불안 2.49점, 죽음불안 1.95점, 내세불안 1.86점으로 나타났다. 죽음인식 하위영역은 연령, 학년, 건강상태, 생활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통불안, 죽음불안, 내세불안은 각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여성은 죽음불안과 내세불안에 영향을 미치며, 2학년은 고통불안과 내세불안, 건강상태는 고통불안, 생활정도는 고통 불안, 죽음불안, 내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이 현실과는 멀게만 느껴져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보다 평화로운 죽음으로 이끌 수 있으며, 현재의 삶을 더욱 보람되게 살 수 있다. 죽음과는 거리가 먼 대학생들에게도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죽음 준비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314 college students in G area from December 1 to December 30, 2015 to investigate death attitude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death awareness was 2.04, and the average score was 2.49 points of pain anxiety, 1.95 points of death anxiety, and 1.86 points of anxiety. Death awareness sub - domai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health status, and living standards. Pain anxiety, death anxiety, and later life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anxiety and anxiety on death, anxiety of death, anxiety of life, anxiety of suffering, anxiety of life, anxiety of death, The fear of death was not so great as death felt far from reality at once. However, a correct perception of death can lead to more peaceful deaths and more rewarding life for the presen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eeded to live a meaningful life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far from death]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2 연구도구 및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죽음인식 수준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인식 수준    3.4 죽음인식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    3.5 일반적 특성이 죽음인식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   4. 고찰   5.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768 15 유전학 생명윤리법상 유전자검사의 허용기준에 관한 법적 논의 / 황만성 2016  99
3767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정보화 시대에 대비한 네트워크 발전전략 연구 / 서병조 ,나성욱 2017  99
3766 9 보건의료 HIV 감염인의 재생산권과 보조생식술 / 배현아 2014  99
3765 13 인구 저출산 · 육아지원대책에 대한 한 · 일 비교연구 / 이성한 2018  99
3764 9 보건의료 지역사회 노인의 정신건강 기초조사를 위한 예비연구 / 주현빈 외 2017  99
376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쟁점과 개선방향 - 시민참여형 모델구축의 탐색을 중심으로 - / 박대웅 외 2017  99
3762 20 죽음과 죽어감 도덕적 이슈에 관한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과 정책과정 분석 -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 / 하은희 외 2018  99
» 20 죽음과 죽어감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 / 유은영 외 2017  99
376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의 몇 가지 문제들 / 변혜진 2018  99
3759 2 생명윤리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간 존엄성 보장에 관한 연구-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형석 2017  99
3758 9 보건의료 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당뇨요인분석 및 예측모델개발 / 조인식 2018  99
3757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99
3756 1 윤리학 공개된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 김민주 2018  99
375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학적 연구와 관련한 국가·기관 위원회 구성의 문제점 및 시험자·의뢰자에 대한 실효적 형사 처벌 필요성 / 김성룡 2018  99
3754 2 생명윤리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생명윤리교육 / 양재섭, 구미정 2009  100
3753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과 새로운 윤리 모델의 모색 / 이원봉 2015  100
375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대국민 교육프로그램 개발 / 태윤희 2016  100
3751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서비스가 말기암 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정현명 2009  100
3750 9 보건의료 의료전문가와 소비자의 전문병원광고에 대한 태도와 병원브랜드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우예순 2012  100
3749 18 인체실험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교육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지식 비교 / 추상희 2011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