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78342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Is the Death of a Youth Worse than the Death of a Baby?

  • 저자[authors] 김한승(Hanseung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哲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2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65-18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죽음,박탈이론,죽음의 시기,맥마한,Death,The deprivation theory,Time to die,McMahan

초록[abstracts] 
[죽음이 죽음의 당사자에게 나쁠 수 있는지 하는 물음은 오랫동안 철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되어 왔다. 반면 죽음을 맞이하는 시기가 죽음을 더 나쁜 것으로 만드는지 하는 물음은 별다른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젊은이의 죽음이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쁘다는 주장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죽음의 더 나쁨을 허용하는 이론 중에서 ‘비례 설명’과 ‘심리적 연결 설명’을 대표적으로 소개한다. 이 두 설명이 만족스럽지 못함을 보이고 나서, 필자는 죽음의 시기에 따라 죽음이 더 나빠지는 또 다른 근거로 죽음이 죽음 당사자의 과거 노력을 헛된 것으로 만들기 때문이라고 논변한다. 이는 박탈이론이 죽음에 대한 균형적인 통찰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It has a long history of debate whether death is bad for a person who dies. It draws little attention whether the time of death in one’s life makes death worse. I shall attempt to justify the claim that the death of a youth is worse than the death of a baby. After introducing ‘Proportion Account’ and ‘Psychological Connection Account’ as the major theoretical frameworks to explain that a death is worse than another death, I shall show that these accounts are not satisfactory. As a major reason why time to die makes one death worse than another death I shall argue that a death makes endeavors in one’s lifetime futile. This shows that the deprivation theory fails to provide a balanced insight into the nature of death.]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1. 죽음에 관한 통상적이지만 논쟁적인 믿음  2. ‘죽음이 나쁘다’는 의미  3. 윤리적으로 더 나쁜 죽음  4. 죽음의 시기  5. 맺는 말: 죽음이 나쁜 이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08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
1207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1206 1 윤리학 생명과학Ⅰ에서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이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양석 2018  114
1205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4
1204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1203 15 유전학 실험실 종사자들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황정은 2018  114
1202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1201 12 낙태 대중문화 속 낙태 재현에 관한 연구 / 김수지 2018  114
1200 9 보건의료 한국형 멜드 시스템 도입 전후의 뇌사자 간이식 성적 비교: 단일기관 연구 / 이지아 외 2018  114
1199 2 생명윤리 의사소통적 여성주의 생명윤리학과 공동의사결정 / 이은영 2017  114
1198 22 동물복지 질환모델 동물의 바이오 이미징 기술 / 김보경 2018  114
1197 4 보건의료 철학 국립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지각된 윤리풍토의 관계 / 조혜경 외 2017  114
1196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술에서 배양조건 개선을 위한 마우스모델 실험 / 유창석 2015  114
119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제 요건 2009  114
1194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4
1193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1192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
1191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1190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2011  114
118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김영태 2014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