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탐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35489738 
우생학에 대한 생명윤리의 과제 

= A Survey of Bioethical Problems in Euginics

  • 저자[authors] 이종원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철학탐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2006]
  • 발행처[publisher]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5-21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6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105
  • 주제어[descriptor] 우생학,유전학,인간유전체연구,유전자검사,맞춤아기,체세포유전자치료,생식세포유전자치료,Euginics,Genetics,Human Genome Project,Genetic screening,Designer children,Somatic gene therapy,Germ-line gene therapy

초록[abstracts] 
[이 논문에서는 우생학의 역사적 유래와 특징을 검토하고, 새로운 우생학으로 확산되고 있는 유전자 치료에 대한 윤리적 문제점들을 제기하고, 생명 윤리적 관점에서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전학은 동식물에서 인간으로 적용 대상을 꾸준히 확장시켜왔고, 배아의 유전자검사(genetic screening)까지도 가능하게 되어, 배아단계에서 유전성질환을 초기에 발견하여 유전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인간유전체연구(Human Genome Project)를 통해 더욱 확장될 전망에 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특정 배아를 선택하여 착상하는 맞춤아기(designer children)와 유전자 조작에 의해 슈퍼베이비의 탄생도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이러한 유전공학의 놀라운 진보로 말미암아 유전자치료의 형태로 새로운 우생학의 등장하게 되었다. 새로운 우생학은 그 목적에 있어서 사회의 부적격자들을 제거하는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접근이 아니라, 의학적 차원의 치료 혹은 유전공학에 의해 유전자 특질의 강화라는 적극적인 형태를 띤다. 방식에 있어서도 국가나 사회에 의한 강제집행이 아니라 개인의 자발적인 선택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 결과 우생학자들은 보다 더 완벽한 아이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새롭게 태어나게 될 인간을 도구화하는 잘못을 범하게 된다.  생명윤리는 우생학적인 시도가 내포하는 잘못된 전제들을 드러냄과 동시에 그 속에 숨어있는 왜곡된 이데올로기들을 면밀하게 분석해 내야 한다. 우생학이 자칫 소극적 우생학을 벗어나 적극적인 우생학으로 나아갈 때 초래할 위험성을 예견하고, 그 결과로 빚어질 위험성을 통찰력있게 분석하여 경계해야 한다.  인간의 이기심이 초래할 치명적인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면서 제도적인 감시와 통제를 통해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이끌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환자의 인권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금지 또는 허용되는 유전자 치료의 범위와 승인절차 등을 철저하게 규정하여야 한다. 또한 유전자관련 연구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연구절차에 대하여 사회 전 구성원의 참여를 통한 사회윤리학적인 통제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와 아울러 생명공학 연구에 버금가는 보다 전문적인 연구를 위하여 윤리, 사회, 법적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윤리, 사회, 법적 동의가 없는 생명공학 연구를 경계하고 예방적인 차원에서 법적 제도적인 장치들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우생학적인 시도가 내포하는 잘못된 전제들을 드러냄과 동시에 그 속에 숨어있는 왜곡된 이데올로기들을 면밀하게 분석하는 효율적인 장치가 될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origi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ugenics and to survey the problems that result from attempts at eugenics from a bioethical perspective and to offer a solution.  Eugenics is a new science of improving the human race inspired by F.Galton. It means "good in birth" in Greek. Recent advances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 heredity offered by advances in genetics have prompted a revival in eugenics. Old-fashioned eugenics sought to produce citizens out of a single centrally designed mould. But the new liberal eugenics is state neutrality and voluntary. Therefore eugenicists make mistakes manipulating new baby so that they may produce a perfect baby.  The new eugenics has emerged from the various forms of prenatal screening and diagnosis. There are two types of Genetic therapy, one is somatic gene therapy, the other is germ-line gene therapy. Liberals see no moral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ypes. B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are distinct and they raise many ethical problems. Somatic gene therapy is ethically acceptable to cure an otherwise fatal disease. But germ-line gene therapy faces serious objection because of resulting uncertain genetic change in descendants.  As a result, attempts at positive eugenics beyond negative eugenics must be prohibited. Positive eugenics programs separate the sorts of people who are desirable and those who are dispensable through the desire of selfish interests involved in these program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148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34
4147 18 인체실험 국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현황과 문제점 / 이준석 외 2006  634
4146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포기(DNR)에 대한 간호장교들의 인식 및 경험조사 / 주명하 2008  634
4145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불임 환자의 생활 습관 및 임신율 / 박승근 2009  634
414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상 유형의 윤리적 문제 / 백수진 2008  632
4143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생애 말기 돌봄에 있어서 사회복지 개입의 필요성 탐색/류지선, 백정원, 김숙남 2015  631
414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장기기증자의 기본권에 관한 연구 : 신체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황지영 2012  631
4141 20 죽음과 죽어감 고독사에 관한 법과 윤리적 쟁점 / 권혁남 2013  630
4140 5 과학 기술 사회 최첨단 생명과학기술의 위험과 규범 / 고봉진 2009  630
4139 1 윤리학 미셸 푸코의 통치성 개념 연구 / 김정경 2016  629
4138 19 장기 조직 이식 윌슨병 환아에서 이형 접합 보인자 공여간을 이용한 혈연간 생체 부분 간이식 / 김진택, 장수희, 최보화, 김경모, 유한욱, 이영주, 이승규 2003  628
4137 12 낙태 멕시코의 폐미니스트운동과 낙태정책 : 2007년 멕세코시티 낙태합법화의 의미 / 강경희 2009  628
4136 14 재생산 기술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 정연보 2013  627
413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2014  627
4134 1 윤리학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법제 정비 방안/ 김유림 2019  626
4133 1 윤리학 종차별주의 비판의 한계와 도덕적 존중의 의미 - 피터 싱어와 마이클 샌델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김광연 2018  626
413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 손승우 2017  626
413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 가족의 생명연장술에 대한 인식:Q-방법론적 접근 / 배보경 2007  626
4130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5
412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범위에 관한 연구 / 손연우 2015  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