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행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223971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 Induced Abortion Trends and Prevention Strategy Using Social Big-Data

  • 저자[authors] 박명배 ( Myung-bae Park ), 채성현 ( Seong Hyun Chae ), 임진섭 ( Jinseop Lim ), 김춘배 ( Chun-bae Kim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행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7No.3[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행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41-24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Big-data, Induced abortion, Contraception, Seasonality, Naver

초록[abstract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n the induced abortion in Korea using social big-data and confirm whether there was time series trends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in induced abortion.  Methods: From October 1, 2007 to October 24, 2016, we used Naver`s data lab query, and the search word was `induced abortion` in Korean. The average trend of each year was analyzed and the seasonality was analyzed using the cosinor model.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search volume of abortion during that period. Monthly search volume was the highest in May followed by the order of June and April.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month was December followed by the order of January, and September. The cosinor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amplitude, 4.46; confidence interval, 1.46-7.47; p<0.0036). The search volume for induced abortion gradually increased to the lowest point at the end of November and was the highest at the end of May and declined again from June.  Conclusion: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s in induced abortion for the past nine years, and seasonal changes in induced abortion have been identified. Therefore, considering the seasonality of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induced abortion, it will be effective to concentrate on the induced abortion from March to Ma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 임진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77

5 과학 기술 사회 신체증강 기술과 덕 윤리 / 김광연

발행년 2018 

  • 조회 수 77

5 과학 기술 사회 치의학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인·허가전략과 과제/신은미, 양승민

발행년 2018 

  • 조회 수 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 완화의료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PR전략 탐색 /김병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7

9 보건의료 제네릭 의약품 가격이 점유율에 미치는 효과분석 / 신주영, 최상은

발행년 2008 

  • 조회 수 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발행년 2017 

  • 조회 수 77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미국의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규범과 의료인의 면책규정이 주는 시사점 / 이인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77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77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발행년 1994 

  • 조회 수 77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발행년 2017 

  • 조회 수 76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발행년 2017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발행년 2014 

  • 조회 수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