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44460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전 의료 및 요양서비스 이용 양상 분석 

= Utilization and Expenditure of Health Care and Long-term Care at the End of Life - Evidence from Korea -

  • 저자[authors] 한은정(Eun-jeong Han),황라일(RahIl Hwang),이정석(Jung-suk L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사회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5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사회정책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9-12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노인장기요양,임종,생애말기,의료이용,의료비,health care utilization,expenditure,the last year of life,long-term care beneficiaries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 중에서 사망한 자의 임종 관련 의료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임종 관련 의료비의 효율적 관리방안과 양질의 임종관리 제공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건강보험 및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자료,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자료이며, 2008년 7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장기요양 인정등급을 받고 같은 기간 내 사망한 자 총 271,474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여성(60.6%), 75세 이상(74.7%)이 다수를 차지했고, 대부분이 2개 이상의 질환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고혈압(44.3%), 치매(42.3%), 뇌졸중(29.9%) 등 비율이 높았다. 사망원인은 순환기계질환(29.8%), 암(15.3%), 선천성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14.7%) 등의 순이었고, 사망장소로는 의료기관(64.4%), 자택(22.0%), 사회복지시설(9.2%) 순이었다. 대상자의 등급인정 이후 사망까지 소요시간은 평균 516.2일이었고, 대상자 중 99.3%는 사망 전 1년간 건강보험 또는 장기요양보험 급여를 이용하였다. 특히, 1인당 평균 총 급여비는 사망한 달에 가까워질수록 규모가 커져, 사망 전 12개월 보다 사망 전 1개월에 3배 이상 높아졌다. 또한, 사망 전 1개월간 대상자의 31.8%는 연명치료 범위에 해당하는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장기요양 인정자의 임종 관련 불필요한 의료이용 감소 및 효율적 의료관리를 위해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통합적 임종관리 전달체계 확립과 호스피스 등 임종케어의 적극적 도입을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utilization and expenditure of health care and long-term care at the last year of life for long-term care beneficiarie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used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Long-term Care Insurance claims data of 271,474 LTCI beneficiaries, who died from July 2008 to December 2012. Their cause of death, place of death, health care costs, and the provision of aggressive care were analyzed. Results: Cardio-vascular disease(29.8%) and cancer(15.3%) were reported as their major cause of death, and hospital(64.4%), home(22.0%), social care facility(9.2%) were analyzed as the place of death. 99.3% of subjects used both health care and long-term care during the last 1 year of life. The average survival period were 516.2 days after they were LTCI beneficiaries. The health care expenditure gradually increased near the death, and the last month were three times more rather than the first month. Furthermore, 31.8% experienced some aggressive cares(CPR, blood transfusion, hemo-dialysis, etc.) at the last month of lif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end of life care policies(for example, hospice, advanced care directives) for the LTCI beneficiaries. They migh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the reduction of health care expenditure of the elderly at the end-of-lif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서론  2. 장기요양 노인 임종 의료 이용 관련 선행연구 검토  3. 자료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68 5 과학 기술 사회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 -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와 젠더화된 목소리 / 이희은 2018  287
2967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 고동희 2016  287
2966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과제 생명의학윤리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조사 및 제언 / 강영희, 이상미, 권광일, 김은영, 허우성 2014  287
296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7
2964 12 낙태 낙태죄 폐지에 대한 법적 이해에 대하여 / 신동일 2018  286
29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정순태 2016  286
296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법 개정의 의의와 법적 쟁점/김현철, 윤이레 2015  286
2961 8 환자 의사 관계 정형외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경향 파악과 원인 분석 / 이원 2013  286
296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과 환자 자기결정권에 대한 가정전문간호사의 태도와 인식 / 권예옥, 안성희 2013  286
2959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과 일본의 장기요양제도에 대한 비교 고찰/김찬우,신수경 2018  285
295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환경윤리 -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권리 / 김명식 2018  285
2957 9 보건의료 의약품 해외 인허가 과정에서의 장애요인 분석 / 윤근영 2018  285
» 9 보건의료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전 의료 및 요양서비스 이용 양상 분석 / 한은정 외 2018  285
2955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심장이식 현황 / 박국양 1999  285
295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와 자율성의 한계/이인국 2016  285
2953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2014  284
2952 9 보건의료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태국 / 윤근영 권진원 이의경 2018  284
2951 4 보건의료 철학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 측정도구 개발 / 정민영 2017  284
295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안전사고 경험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정도 / 문미영 2018  284
2949 9 보건의료 한국 메르스 발생기간 동안 일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 근무 간호사의 정신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박지선 2016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