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77504 
진료계약의 위반에 관한 법률문제

= Legal problem related to breach of medical contract

  • 저자[authors] 정다운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vi, 132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천수<br>참고문헌: p. 121-127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2017.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진료거부 금지,재난적 의료비,의료비 대지급제도,의료과오,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진료계약의 양 당사자인 환자측과 의사측의 각각의 의무위반에 따라 발생하는 법률문제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환자측과 관련하여서는 진료비지급채무를 이행하지 못하였을 때 의사측이 진료비채권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의사측과 관련하여서는 진료채무의 불완전이행에 따라 발생하는 의료분쟁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의료법 제15조에서는 의료인의 진료거부 금지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의사측은 진료비지급채무를 부담하는 계약상대방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가 없고, 무자력 환자측에 대하여 그 진료비를 지급받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의사측은 계약의 내용에 따라 진료비청구권을 환자 아닌 타인에게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의사측은 진료비청구권을 기초로 환자의 제3자에 대한 치료비청구권 등을 대위행사하는 방법도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자력 환자측에 대하여 진료비청구권을 행사하여 그 채권을 실현시킬 방법이 없다면, 보건의료법령에 따른 의료보장 제도를 이용하여 진료비용을 지급받을 수도 있다. 의사측은 긴급의료비지원제도, 응급의료비 미수금 대지급제도, 중증질환 재난적 의료비 지원사업 등을 활용하여 무자력 환자에 대한 진료비용을 해당 보장기관에 직접 청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의사측의 무자력 환자에 대한 진료비채권의 실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의사측의 계약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는 의료법 상에 일반의료비 대지급제도를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의사측이 과실로 진료채무를 불완전하게 이행하여 의료사고가 발생하였다면 의사측은 진료계약에 따른 채무불이행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그런데 전문적인 의료행위에 대하여 환자측이 의료과오를 증명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과실의 경우 환자측에게 채무불이행 사실이 통상적 예견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만을 증명하도록 하여 그 귀책사유를 의사측이 증명하도록 하고, 인과관계의 경우 사실상 추정론에 따라 환자의 증명책임을 경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의료분쟁을 보다 전문적이면서도 신속하고 간명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분쟁과 관련한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로는 한국소비자원의 조정제도,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조정·중재제도, 대한상사중재원의 중재제도가 있다. 그런데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은 특히 의료분쟁과 관련하여 의료사고 피해의 신속·공정한 구제를 위해 제정된 법률이므로 이에 따른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조정·중재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조정·중재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조정 절차 자동 개시의 확대, 필요적 전치주의의 도입, 감정기구 운영의 개선,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의 확대 등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888 5 과학 기술 사회 왓슨의 진단 조력에 대한 현행법상 형사책임에 관한 소고 / 장연화 2017  95
388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교통데이터 처리ㆍ제공을 위한 플랫폼 개발 필요성 / 양충헌 2018  95
3886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95
3885 13 인구 초고령화 사회로의 접근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검토 - 우리나라와 독일법을 중심으로 - / 고재종 2018  95
3884 12 낙태 A critical assessment of abortion law and it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 김효신 외 2018  95
»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위반에 관한 법률문제 / 정다운 2017  95
3882 9 보건의료 사례 중심의 의료기기 임상시험 교재 개발 / 박남미 2018  95
388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특허침해에 따른 책임 / 김용주 2018  95
3880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지식재산권 보호전략과 대책 / 김승래 2017  95
3879 9 보건의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자동조정절차 개시제도 도입경과 및 개선방안 / 김성은 2017  95
3878 9 보건의료 생활습관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과 의사의 역할 / 박지은 외 2018  95
3877 9 보건의료 감염 예방을 위한 인공신장실 의료 환경에 대한 고찰 - 근거 기반의 디자인 중심으로 / 한수하 외 2018  95
3876 9 보건의료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김은혜 2019  95
3875 18 인체실험 The Proposed Rule for U.S. Clinical Trial Registration and Results Submission/Deborah A. Zarin 2015  96
3874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3873 18 인체실험 안면홍조에 대한 임상시험 참가자의 증상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 김동일 2006  96
3872 19 장기 조직 이식 프랑스의 생명윤리법상 장기기증자의 추정동의에 관한 연구 / 이형석 2016  96
3871 9 보건의료 다중 데이터 처리 방법을 위한 의료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설계 / 김용현 2017  96
3870 9 보건의료 의료법 등의 리베이트규제와 청탁금지법(김영란법) / 김기영 2016  96
3869 9 보건의료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미국의 의약품 관련 정책 변화 예측 및 한국에의 시사점 / 손경복 2017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