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77504 
진료계약의 위반에 관한 법률문제

= Legal problem related to breach of medical contract

  • 저자[authors] 정다운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vi, 132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천수<br>참고문헌: p. 121-127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2017.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진료거부 금지,재난적 의료비,의료비 대지급제도,의료과오,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진료계약의 양 당사자인 환자측과 의사측의 각각의 의무위반에 따라 발생하는 법률문제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환자측과 관련하여서는 진료비지급채무를 이행하지 못하였을 때 의사측이 진료비채권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의사측과 관련하여서는 진료채무의 불완전이행에 따라 발생하는 의료분쟁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의료법 제15조에서는 의료인의 진료거부 금지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의사측은 진료비지급채무를 부담하는 계약상대방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가 없고, 무자력 환자측에 대하여 그 진료비를 지급받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의사측은 계약의 내용에 따라 진료비청구권을 환자 아닌 타인에게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의사측은 진료비청구권을 기초로 환자의 제3자에 대한 치료비청구권 등을 대위행사하는 방법도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자력 환자측에 대하여 진료비청구권을 행사하여 그 채권을 실현시킬 방법이 없다면, 보건의료법령에 따른 의료보장 제도를 이용하여 진료비용을 지급받을 수도 있다. 의사측은 긴급의료비지원제도, 응급의료비 미수금 대지급제도, 중증질환 재난적 의료비 지원사업 등을 활용하여 무자력 환자에 대한 진료비용을 해당 보장기관에 직접 청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의사측의 무자력 환자에 대한 진료비채권의 실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의사측의 계약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는 의료법 상에 일반의료비 대지급제도를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의사측이 과실로 진료채무를 불완전하게 이행하여 의료사고가 발생하였다면 의사측은 진료계약에 따른 채무불이행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 그런데 전문적인 의료행위에 대하여 환자측이 의료과오를 증명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과실의 경우 환자측에게 채무불이행 사실이 통상적 예견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만을 증명하도록 하여 그 귀책사유를 의사측이 증명하도록 하고, 인과관계의 경우 사실상 추정론에 따라 환자의 증명책임을 경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의료분쟁을 보다 전문적이면서도 신속하고 간명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분쟁과 관련한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로는 한국소비자원의 조정제도,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조정·중재제도, 대한상사중재원의 중재제도가 있다. 그런데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은 특히 의료분쟁과 관련하여 의료사고 피해의 신속·공정한 구제를 위해 제정된 법률이므로 이에 따른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조정·중재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조정·중재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조정 절차 자동 개시의 확대, 필요적 전치주의의 도입, 감정기구 운영의 개선,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의 확대 등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88 9 보건의료 프랑스 의료제도와 진찰료 정책 동향 / 이정찬, 손강주 2019  508
78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에 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맥락과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성찰 / 정재우 2013  509
78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구득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 박부선, 곽원준 2015  509
785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과의 의사소통 실태 / 강은영 외 2011  509
784 9 보건의료 의약품 품질보증 시스템에서 Quality by Design 적용 / 이혜민 2014  509
783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0
78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10
781 22 동물복지 윤리적인 동물 실험의 철학적 옹호 가능성 검토 / 목광수 2010  510
780 15 유전학 인체유래 생물자원 관련 생명윤리정책 제언 / 조순로, 설성수 2010  511
779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반성 : 배아복제(embryo cloning)를 중심으로 / 한병기 2005  511
778 5 과학 기술 사회 [브레인 영화관_엑스 마키나(Ex Machina)] 2045년, AI(인공지능)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선다/강만금 2015  511
777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776 22 동물복지 반려동물 임상에 있어서 줄기세포 치료제 활용 / 고예린, 윤화영, 채준석 2012  512
775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2015  512
774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2
773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772 12 낙태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김선화 2008  512
771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770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윤리적 쟁점의 변천 / 조은희 2014  513
769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