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07186 
진단서의 증명력 : 상해진단서를 중심으로

  • 저자[authors] 이동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료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2[2017]
  • 발행처[publisher] 대한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7-7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진단서, 상해, 증명력, 표현증명, 자유심증, medical certificate, evidentiary function, conflict of interest, personal injury

초록[abstracts] 
[진단서는 의사등이 진찰결과에 관한 판단을 표시하여 작성하는 문서로서 민․형사소송 등에서 증거로 쓰인다. 특히 상해의 증명에서 그 기능이 현저하다. 법은 허위진단서작성을 형사처벌하는 등으로 그 증명기능을 보호하기 위하여 힘쓰고 있다. 그러나 몇 가지 이유에서 진단서가 진실과 부합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생긴다. 첫째, 의사등의 제1차적 관심은 환자의 효과적인 진단과 치료인데, 그에 필요한 정보수집 및 판단의 방법이 법정 등에서 진실을 찾는 것과 다를 수 있다. 둘째, 의사등은 종종 환자의 진술 등에서도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데, 환자와의 치료적 대화 관계 등의 유지를 위하여 그 진술 등의 신빙성을 의심하는 것이 부적절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결국 의사등이 증명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수집한 정보로부터 내린 판단을 증명에 전용(轉用)하여 생긴 문제이고, 비용이 낮은 진단서 제도를 버릴 수 없는 한 불가피한 한계에 해당한다. 진단서에 의한 증명에 표현증명의 효력을 부여하여야 하는 경우와 그 증명력을 자유심증주의에 터 잡아 개별적으로 심사하여야 하는 경우를 나누어 후자에 대하여는 전면적인 증명력 심사를 가하고, 진단서 서식 자체를 개선하여 법원이나 수사기관 등이 위 둘 중 어느 경우에 해당하는지를 가리는 데 필요한 정보가 이미 진단서 자체에 드러나게 하는 개선이 필요하다.

Medical certificate is a document to demonstrate a patient’s health status, made up and signed by a physician, dentist, or oriental physician who attended the patient. It serves as an evidence in many official process including civil or criminal law suit, especially for one’s personal injury. The Korean legal system also acknowledges and protects the evidentiary function of medical certificate by mandating physicians etc. to issue medical certificate in good faith and only when they personally attended the patient, and by criminally punishing them when they do not comply with these legal requirements. There are some reasons, however, that medical certificates often do not reflect the true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When physicians attend the patient and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the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their priority is and should be the most cost-effective way to meet the health needs of the patient. It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e accurate examination of the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Even when the patient’s report on the history of the illness or the injury seems suspicious, physicians might have to avoid disproving it because that kind of attitude might harm the rapport between the physician and the patient. All these can distort the perception of the physicians and this distortion can be reproduced in the medical certificate they made up. Some of these problems might be resolved or at least enhanced by introducing new form of medical certificate which would guide physicians to reveal the nature, factual and theoretical grounds, and the limit of their findings more accurately. Others, however, would not be able to address, because it stems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 physician’s primary duty, duty to be loyal to the patient’s life and health, and his secondary duty to serve as a public or neutral witness on the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and when both values or duties conflict with each other, they should choose the duty to the patient sacrificing the duty to the public or the court.]

목차[Table of content]
I. 서론   II. 진단서의 증명기능과 증명력    1. 진단서의 증명기능과 그 보장    2. 진단서의 증명력   III. 진단서의 증명력의 내재적 한계와 그 대안    1. 진단서에 의한 건강상태 증명의 문제    2. 특히 상해진단서에 의한 가해행위 증명의 문제   I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448 18 인체실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 / 송영민 2014  370
3447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2014  370
3446 22 동물복지 동물실험과 심의 / 김명식 2007  369
344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69
3444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69
344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제도의 법적 문제 / 박동진 2005  369
3442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
3441 9 보건의료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 김은성 2015  369
3440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생체재료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운명 조절기술 / 이은경 2015  369
343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IRB 위원과 임상연구자의 인식도 조사 / 김지선 2006  369
3438 4 보건의료 철학 병원환경에서 의료종사자의 건강신념이 대응성과 병원의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가치성을 매개로 / 장국현 2017  368
3437 9 보건의료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에 대한 병원체 관련 수의학 용어의 우리말 표준화 / 류재면 외 2014  367
3436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이 책임과 권한의 주체일 수 있는가/고인석 2012  367
3435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2018  366
3434 13 인구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따른 교육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 김주미 2007  366
3433 14 재생산 기술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 2001  366
3432 10 성/젠더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 최은아 2015  366
3431 2 생명윤리 동성애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과 자기배려의 덕/최성욱 2015  366
3430 10 성/젠더 생명정치, 벌거벗은 생명, 페미니스트 윤리 / 조주현 2008  366
3429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 / 강경아 황애란 2012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