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간 · 환경 · 미래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14965 
인공도덕성 검사의 가능성 

= How to Test Artificial Morality

  • 저자[authors] 김효은(Kim, Hyo-e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인간 · 환경 · 미래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20[2018]
  • 발행처[publisher]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9-15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공도덕성 검사,튜링 테스트,자율시스템,딥러닝,인간도덕성,Artificial Morality Test,Turing Test,Autonomous System,Deep Learning,Human Morality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현 단계의 인공지능의 도덕성 검사로서 기존의 튜링테스트는 적합하지 않으며 설계, 학습, 실행 등 전체 과정에 걸친 검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기존의 튜링테스트처럼 사후 ‘검사’에 초점을 맞춘 도덕성 튜링테스트는 결국 본래의 튜링테스트의 난점처럼 ‘얼마나 인간을 잘 모방 하는가’에 대한 검사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기존 튜링테스트는 실행 후의 언어 반응에 대한 검사이며, 설계-제작이라는 실행 전의 과정에 대한 검사를 포섭할 수 없다. 인공지능의 도덕성 검사는 실행 단계 이후의 검사가 아니라 설계 이후의 전체 단계에 걸친 검사로 확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확장은 인공지능 개발과 투명성간의 딜레마를 야기할 수 있지만, 학습과정 공개가 아니라 인공지능에 설명기능을 내장한 형태로 극복가능하다. 필자는 2절에서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메커니즘에서 야기되는 윤리적 쟁점을 소개하면서 3절에서 자동시스템이 아닌 자율시스템이된 현재 인공지능(로봇)에서 기존 튜링테스트가 유효한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비판을 바탕으로 4절에서는 기존의 튜링테스트가 딥러닝 기반의 자율시스템의 인공도덕성 검사에 적용되기 어렵고 대신 전 단계에 걸친 검사가 더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5절에서는 미결의 문제로 인공도덕성 적용 기준이 인간의 윤리원칙들 이어야 하는지의 문제를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ditions for artificial morality test. The original turing test for artificial morality faces a similar difficulty as the original turing test: applying the original turing test to test artificial morality is only to test “how well it imitates human being.” Instead, I suggest that the test for artificial morality could be a test for the whole process including design, learning and output. In section 2, I explain how the deep neural network introduces a black box which is inaccessible to people and induces moral issues. In section 3, I critically examine whether the original Turing test is applicable to autonomous system using deep learning mechanism. In section 4, I identify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morality test. Based on the four sections, in section 5, I argue that we need an agreement on the question as to whether artificial morality should be based on human morality for the successful test of artificial morality.]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자율시스템으로서의 인공지능과 블랙박스의 윤리적 문제  Ⅲ. 인공도덕성 검사의 전체적 특성  Ⅳ. 인공도덕성 검사의 특성  Ⅴ. 인공도덕성 검사의 기준은 인간 도덕성인가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28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의 성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실천행위 연관성 분석 : 경기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2017  97
827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97
826 5 과학 기술 사회 인증시스템을 위한 얼굴인식 기술 : 서베이 / 황윤철 2015  97
825 18 인체실험 안면홍조에 대한 임상시험 참가자의 증상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 김동일 2006  97
824 5 과학 기술 사회 건전한 인공지능 생태계 형성을 위한 규범적 전략과 법의 역할/윤상필 외 2017  97
823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 지능 연구 개발 전략 현황 / 한상기 2016  97
822 20 죽음과 죽어감 이른바 ‘연명의료결정’법의 형사정책적인 의문 / 이경렬 2016  97
821 2 생명윤리 죽음 규정에 관한 논란과 그 인간학적 함의 = The Dispute on Defining Death and Its Anthropological Meaning/허민 2016  97
820 19 장기 조직 이식 Liver transplantation in Latin America: Current status 2004  97
81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6
818 9 보건의료 의료규제 정책의 딜레마에 관한 연구: 신약 및 신의료기기 분야의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이유현, 정일영 2018  96
817 10 성/젠더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 김예슬 2017  96
816 15 유전학 유전자분석을 통한 결핵약제내성검사 결과의 해석과 적용 / 전두수 2018  96
81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치료비 청구와 ‘책임제한’ 법리의 재검토 / 장재형 2018  96
814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96
813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우현, 박정원 2018  96
81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방식에 관한 각국의 최근동향 / 송영민 2018  96
» 1 윤리학 인공도덕성 검사의 가능성 / 김효은 2018  96
810 9 보건의료 순환기 약물임상시험 대상자의 서면동의서 이해도와 참여결정후회도 / 윤은화 외 2014  96
809 9 보건의료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불면의 무작위임상시험 해외 연구 동향 / 백영화 외 2013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