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倫理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216055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 Civic Ethics and the Implication of Moral Education in the period of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Emphasis on Utilizing AI Robots-

  • 저자[authors] 송선영 ( Song Sun-young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倫理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15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3-15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형 로봇, 빅데이터와 네트워크, 조건적 자율성, 시민윤리적 알고리즘, 시민윤리교육, AI Robots, big-data & network, conditioned autonomy, algorithm of civic ethics, ethics education of citizenship

초록[abstracts] 
[이번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형 로봇의 등장에 따른 시민윤리의 전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도덕교육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검토하는데 있다.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이 점차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인공지능형 로봇은 인간에 대해 일정한 조건에서 자율적인 행위를 취한다. 과거와는 달리 모든 인간의 지식정보가 빅데이터로 저장되고 네트워크로 연결되면서,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은 점차 인간간의 관계망에 관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형 로봇 자체에 대한 존재론적 전망을 넘어서 인간과 인공지능형 로봇간의 관계망에서 요구되는 조건적 자율성과 시민윤리적 알고리즘의 기준이 필요하다. 우리가 활용할 인공지능형 로봇은 특정 분야 및 상황에서 발생하는 시민적 삶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유용한 도구여야 한다. 이런 점에서 특화된 인공지능형 로봇은 세계 시민의 소통망에서도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시민윤리교육에 있어서도 시민윤리적 알고리즘개발을 위한 도덕발달 교육과 연계할 수 있고,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도구가 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perspective of civic ethics in the development of AI robotics. AI robots are able to do autonomous actions by their own algorithm in the fields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e main reason why they do so is to be utilized in the network of big-data that includes all human activities connected with human life in history. This means that AI robots are in the middle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interacted with them. At that point, AI robots are required to have some flexible standards of algorithm of civic ethics, for they have autonomous ability to respond to human activities. The main rule to take is AI robots as useful tools that enable u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in limited and specific situations or environments. This also makes it possible that specialized AI robots by algorithm of civic ethics in civil society is utilized in the network of global citizenship. In terms of ethics education of citizenship for next generations, the utilization and perspective for AI robots is connected with moral development of algorithm by students and with educational tools in teaching & learning method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508 13 인구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조아라 2018  135
1507 8 환자 의사 관계 임플란트 시술상 의료과오의 소송상 쟁점에 관하여 / 한태일 2018  135
150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최금희 외 2018  135
150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결과물과 저작권 / 신창환 2016  135
1504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 황란희 2017  135
1503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행위에 대한 의료형법적 고찰 : 의학적 충고에 반한 퇴원 사례를 중심으로 / 조인호 2008  135
1502 18 인체실험 연구윤리 교육활동에 대한 조명과 사례연구를 적용한 중등교육과정의 연구 / 이상희 2013  135
1501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한국의 입법추진동향과 과제/ 박종원 2015  135
1500 9 보건의료 Personal Care in Learning Health Care Systems 2015  135
1499 8 환자 의사 관계 커뮤니티케어에서 의사의 역할이 왜 중요한가? / 이건세 2019  134
1498 10 성/젠더 종교개혁의 ‘개혁적’ 성윤리 탐색 - 루터와 칼뱅의 남녀관계성과 결혼 및 성적 결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이창호 2017  134
1497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2016  134
»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 시대의 시민윤리와 도덕교육적 함의 -인공지능형 로봇의 활용을 중심으로- / 송선영 2017  134
1495 5 과학 기술 사회 디엔에이(DNA)신원확인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제문제 / 서주연 2015  134
1494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자 관리사업 세부 영역별 성과 평가방안 연구/ 윤영호 외 2014  134
149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태도분석 2005  134
1492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149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의한 임신의 주산기 예후 / 이준호 2015  134
1490 1 윤리학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 이현승 2016  134
1489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에 대한 제한원칙으로서의 위해원칙의 한계/김정아 2015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