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46037 
A critical assessment of abortion law and it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 저자[authors] Hyosin Kim,Hyun-A Ba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4No.1[2018]

  • 발행처[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1-87

  • 언어[language] English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South Korea,abortion laws,prenatal sex testing,unenforced regulatory laws,한국,낙태죄,태아성감별,규제 실효성


초록[abstracts] 
[Abortion is generally prohibited by law in South Korea, except for induced terminations administered within 24 weeks of pregnancy because of medical, genetic, and ethical reasons. This study provides a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abortion law in Korea and discusses specific provisions regulating the procedure and prenatal sex testing under the Criminal Act, Mother and Child Law, and Medical Services Act.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laws,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leg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underlying the discrepancy between restrictive laws and enforcement of the regulation. The current laws need to be amended to reflect changes in medical knowledge and contemporary social values and to protect women’s human rights and health.

한국의 형법은 원칙적으로 낙태를 금지하고 있다. 형법의 낙태죄에 대해 예외적으로 모자보건법은 인공임신중절 허용사유를 24주 이내의 기간에 의학적, 우생학적 또는 유전적 사유, 윤리적 사유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의 낙태관련 법제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현재 형법과 의료법, 모자보건법에 따른 낙태관련 법제와 태아성감별 금지 의무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현행 한국의 낙태관련 법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낙태죄 관련 규제의 실효성을 평가해보고 법은 존재하나 실질적인 규제가 되지 않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법적, 사회적, 문화적인 요소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따라서 의학적 근거와 함께 여성의 인권과건강을보호하기위한낙태관련법개정필요성에대하여논의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88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2014  664
418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법률관계에서 미성년자 동의능력의 문제 / 류화신 2009  664
418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 김은철, 김태일 2013  663
4185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2
4184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의 정체성과 생명권 / 구인회 2014  661
4183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정유석 2000  660
4182 9 보건의료 외래침입 병원체에 의한 작물 병 발생 및 분포 / 조원대 외 2005  659
4181 14 재생산 기술 조기 태아성별 확인법 개발, 무엇이 문제인가? / 구인회 2013  659
4180 18 인체실험 기능성식품 인체적용시험 제도 비교 / 김주희, 김지연, 원혜숙, 권혜진, 권혜영, 정혜인, 권오란 2010  659
4179 22 동물복지 동물권에 대한 윤리교육적 고찰 : 동물권 보호의 실질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황연경 2013  657
4178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 임선숙 2015  654
4177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4
417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4175 15 유전학 우생학에 대한 생명윤리의 과제 / 이종원 2006  651
417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 : 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 신은하 2008  650
4173 9 보건의료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 이나경 2016  649
4172 2 생명윤리 기독교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 판단의 원리 / 권혁남 2016  649
417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수혈거부와 자기결정권의 한계/원형식 2016  649
4170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2011  649
4169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에 관한 법적 쟁점 / 김민우 2014  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