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16254 
낙태에 대한 개방적 접근의 필요성 

= Necessity for Open Approaches to Abortion: Considerations on the Korean Abortion Policy based on History and Public Health

  • 저자[authors] 최규진(CHOI KYUJ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No.1[2018]

  • 발행처[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낙태죄,인권,보건,낙태율,모자보건법,illegal abortion,human rights,health care,abortion rate,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초록[abstracts] 
[한국은 제한적인 낙태 정책으로 인해 국제사회로부터 여러 차례 지적을 받아왔다. 이는 인권침해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보건학적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법적 제한은 많은 여성을 기술적으로 부족한 시술자에게 낙태시술을 요구하게 만들거나 비위생적 환경에서 낙태시술을 받도록 해 큰 위험에 노출시킬 뿐이다. 낙태를 법률로 제한한다고 해서 낙태 건수가 줄어드는 것도, 출생률이 극적으로 증가하는 것도 아니다. 반대로 안전한 낙태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촉진하는 법률과 정책이 갖추어졌을 때 낙태율과 낙태 건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더욱이 한국에서의 폐쇄적인 낙태 정책은 일제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한국의 전통이나 문화와는 거리가 멀다. 현재 여론 역시 낙태죄 폐지에 대해 긍정하고 있다. 이처럼, 역사 및 보건학적 관점에서는 물론, 시대적인 상황, 여론, 인권, 정치, 외교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그 당위성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낙태 관련 정책이 보다 개방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Korea has been pointed out several time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ecause of its backward abortion policy. This is because not only there is a high risk of human right violations, but also it is desirable to abolish the abortion punishment regulations that can hinder the accessibility to medical services by women from the perspectives of public health. That is, restricting abortions by law does not reduce in the number of abortions and does not increase the birth rate dramatically as well. On the other hand, laws and policies that promote the accessibility to safe abortion services tend to reduce the number of abortions. Legal restrictions can only expose many women to huge danger by making them undergo an abortion in other countries, ask for an abortion from an unskilled abortionist, and have an abortion at an unsanitary place. In addition, the closed abortion policies are far from Korean traditions and cultures. Recently, the consensus is for the abolition of illegal abortion. Since the appropriateness of abolition is verified in almost all areas excluding religions, such as the times, public opinions, health care, politics, and diplomacy, the policies on abortion should go in more open direction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들어가며  2. 역사적 관점으로 본 한국 낙태 정책의 문제  3. 보건학적 관점으로 본 한국 낙태 정책의 문제  4. 결론을 대신하여: 생명윤리 그리고 법적인 관점에서의 보충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48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정의로운 보건의료체계: 수단과 목적 / 박상혁 2016  115
3447 1 윤리학 미국의 법 영역에서 문제되는 인과관계와 역학적 인과관계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이승현 2018  115
3446 12 낙태 낙태에 대한 형사처벌의 시대착오 / 하정옥 2018  116
34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윤리 : 사전 의료 지시서를 중심으로 / 홍영선 2008  116
344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산업활성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언 / 이종용, 조병선 2016  116
344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 김병운 2016  116
344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가 지각한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서비스 만족도 / 서미선, 박영임 2016  116
3441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명체 안전관리의 제도적 보장 - 식용 GMO의 동물투여 독성시험 현황과 논란을 중심으로 / 김훈기 2016  116
3440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서비스 법제도 개선 방향 / 주지홍 2017  116
3439 14 재생산 기술 초급속 동결보존한 체외수정란 유래의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효율성 검토 / 김현, 최창용, 성환후 2015  116
3438 9 보건의료 의료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 이현직 2016  116
3437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에서의 본인확인수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신영진 2015  116
3436 12 낙태 형법상 낙태죄 처벌규정의 위헌성에 대한 재조명 / 남정아, 이상경 2017  116
3435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의 과실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임미영 2012  116
3434 1 윤리학 의료인 성범죄 사건에 관한 판례 고찰 / 전병주 2017  116
3433 9 보건의료 노인 인권 보호·증진의 국제적 동향과 쟁점 / 최성재 2018  116
3432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16
3431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을 위한 완화의료와 호스피스/최재필 2017  116
3430 1 윤리학 고령화시대 정책과제와 정책 거버넌스 평가 / 최창용 2018  116
3429 1 윤리학 여성 보건의료인 대상 성희롱 실태 / 김규연 2018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