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70249 
간호정보학 이해를 위한 영화 ‘The Island’ 활용 

= The Use of the Movie ‘The Island’ for Nursing Informatics in Nursing Students

  • 저자[authors] 오진아(Jina Oh),신혜원(Hyewon Shin),Jennie C. De Gagn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5No.4[2015]

  • 발행처[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30-34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5

  • 주제어[descriptor] 간호정보학,간호교육,영화,간호학생,Nursing Informations,Nursing Education,Movie,Nursing Students


초록[abstracts] 
[영화는 간호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학습매체이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핵심역량의 하나인 간호정보학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영화 ‘The Island’를 활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2012년 2학기 부산광역시 소재 I대학 간호학과에 개설된 “간호와 정보‘ 과목을 수강한 2학년 학생 중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알고 동의한 학생 6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영화를 활용한 수업은 15주 중 첫 5주에 걸쳐 이루어졌다. 참여 학생들은 매 차시마다 자가 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고, 응답지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첨단의료기술을 사용한 질병치료와 건강증진으로서의 ‘간호정보학의 개념’, 정보학의 실제적인 간호실무로의 통합으로서의 ‘컴퓨터정보기술의 활용’, 그리고 높은 보건의료기술뿐만 아니라 ‘환자안전과 보안’의 주제에 대한 학습목표를 달성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영화 ‘The Island’는 간호정보학의 개념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학습자료임을 알 수 있었다. 간호사를 포함한 보건의료전문가들의 정보학 역량 향상을 위해서도 본 영화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ilm ‘The Island’ on 2nd year nursing students’ nursing informatics (NI) competency. The participants were sixty-eight students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of a private university, taking the course, ‘Nursing & Informatics’ in the 2012 fall semester. Over the 15 weeks, the film was used for five weeks as introduction to NI, peer-to-group discussions, and self-reflection on lessons learned regarding NI.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their NI competency. As a result, students signified the NI concept as the assessment of biometrics data, promotion of optimal health with the support of various technologies, and integration of patient-centered care into routine practice. They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ecurity and safety measures as well as high quality health technology including the ubiquitous health monitoring system. Overall, the lesson outcomes of the course were met. As a supportive, instructional strategy, the use of the movie, ‘The Island’, was effective for nursing students in achieving NI competencies. Further study is warranted to determine if movies can be used as a means of continuing education to improve informatics competences in healthcare professional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발행년 2019 

  • 조회 수 87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기은희

발행년 2008 

  • 조회 수 877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87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남기곤

발행년 2011 

  • 조회 수 87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875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발행년 2019 

  • 조회 수 87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현황과 문제점 / 문신용

발행년 2000 

  • 조회 수 871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발행년 2013 

  • 조회 수 871

14 재생산 기술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윤혜진

발행년 2014 

  • 조회 수 85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발행년 2014 

  • 조회 수 858

14 재생산 기술 생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 양혜란

발행년 1995 

  • 조회 수 856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송성수

발행년 2001 

  • 조회 수 854

1 윤리학 수술 로봇의 윤리적 쟁점 / 송선영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85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발행년 2014 

  • 조회 수 84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적 과제 / 이시직

발행년 2017 

  • 조회 수 845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발행년 2004 

  • 조회 수 84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발행년 2013 

  • 조회 수 84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발행년 2013 

  • 조회 수 838

15 유전학 식물연구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다양한 적용 / 배상수

발행년 2016 

  • 조회 수 837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현아

발행년 2013 

  • 조회 수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