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국가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81761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 영향요인 연구: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을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the Fertility Rate by Local Government in Korea: Focused on Socio-cultural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Policy Factors

  • 저자[authors] 오삼권 ( Samgwon Oh ), 권영주 ( Young Joo Kwo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국가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2No.1[2018]

  • 발행처[publisher]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5-8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지방자치단체, 출산율 설명 이론, 합계출산율, Local Governments, Explanation Theory of Fertility Rate, Total Fertility Rate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사회·문화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정책적 요인이 합계출산율과 조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문화적 요인이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요인은 그 다음으로 출산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으나, 경제적 요인은 조출생률에만 극히 미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방자치단체의 출산력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조혼인율, 여자 초혼 연령이, 조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조혼인율, 여자 초혼 연령, 출산장려금, 지가변동률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 정책이 경제적 지원 정책과 함께 장기적인 사회문화적 환경 조성 정책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