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33606 
인간의 탄생성과 출산행위 

= A Natality and Giving Birth to Human Beings as Action

  • 저자[authors] 공병혜(Kong, Byung-hy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철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3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3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탄생성,출산,행위,아렌트,생식보조기술,Natality,Giving Birth,Medical Care,Delivery,Reproduction Assisting Technology


초록[abstracts] 
[인간의 탄생이란 한 개인의 삶의 최초의 시작이며 동시에 인간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생식과 출산이라는 공동 행위를 통해 공동체를 구성하는 사회적 사건이다. 인류의 역사 속에서 탄생을 통해 사회적 공동체를 형성하게 한 출산행위는 고대부터 산파나 여성치료자의 도움으로 가정이나 지역공동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근대이후 전문 의료기관이 등장하고 생명탄생의 자연적 과정에 과학과 의료기술이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임신과 출산에 대한 의료적 관리가 일상화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오늘날 출산과 생식보조기술 사용이 야기하는 인간 탄생성이 지닌 근본적인 실존적 물음을 제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것이 공동의 인간관계 속에서 시작되는 출산행위에 미치는 제도적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공동체 내에서 출산 행위의 정치학이라는 공적 논의를 활성화하고자 한다. 그래서 우선 인간의 삶의 가장 근원적인 실존적 조건이며 동시에 인간관계 속에서 행위를 시작하게 하는 인간 탄생의 의미를 철학적으로 고찰해 본다. 이를 위해 공동의 세계 속에서 ‘스스로 시작함’이라는 탄생성을 함축하고 있는 인간의 출산 행위의 의미를 특히 아렌트의 탄생철학에 근거하여 고찰해 보고, 최근의 여성의 몸을 에워싼 보조생식기술과 출산기술의 사용에 대한 여성주의 입장을 검토해 보기로 하겠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공동체 속에서 출산행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아렌트의 시작의 정신으로서 탄생성의 철학에 근거하여 철학적으로 재조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1. 서론 (문제제기)  2. 인간의 출산과 탄생에 대한 철학적 의미  3. 출산 행위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4. 시작함의 정신으로서 출산 행위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38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2002  1017
438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 권경은 2008  1017
4386 15 유전학 현대 키메라(Chimera)'의 학제적 접근을 위한 고찰 / 김인경, 장매희 2012  1013
4385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12
4384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출산율과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 홍성란 2016  1011
4383 12 낙태 낙태의 윤리적 문제 / 구인회 2018  1010
4382 9 보건의료 한국, 일본,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비교 / 김계현 2017  1009
438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7
4380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2015  998
4379 20 죽음과 죽어감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요구 환아 가족 맞춤형 다감각환경 중재 프로그램" 개발 / 전주영 2018  989
4378 17 신경과학 정신질환을 가진 부모의 자녀들의 정신건강 상태 조사 연구 / 서화연 외 2017  987
4377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2019  982
4376 15 유전학 In Vitro에서의 경구 투여용 인간 성장 호르몬의 생산 / 구본철 2012  980
4375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로봇 소통의 인식론적 기초와 윤리 / 조광제 2011  980
43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79
4373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 권인혜 2018  977
4372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2014  976
4371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5
4370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4369 12 낙태 낙태죄와 임신중절의 문제 / 조홍석 2018  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