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학술대회 자료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26431 
가부장제 의미경제 구조 분석을 통한 인공 임신중절 담론 재고찰

  • 저자[authors] 윤지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학술대회 자료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1[2017]

  • 발행처[publisher]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30


초록[abstracts] 
[인류의 역사 안에서 ‘여성의 몸’은 다층적이며 논쟁적인 화두를 끊임없이 생산해 내는 지점으로서, 세기를 가로지르는 주요한 담론의 원천이자 실천적 쟁점의 격전지이기도 하다. 윤지선,「장기-몸의 봉기로서의 출산: 들뢰즈와 가따리의 ‘기관없는 신체’ 이후」, 철학연구, 2016, 116. 2016년 9월 23일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의료관계 행정 처분규칙 일부 개정령’을 입법 예고하며 인공 임신중절 시술 의사 가중처벌 방안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6년 12월 29일 행정자치부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출산지도-지역별 가임기 여성인구 지도’가 공개되자 격렬한 논쟁과 논란이 동시다발적으로 촉발되었다. 이는 우리 사회가 가임기 여성의 몸을 정치·경제적, 사회적, 철학적 이데올로기의 효과들이 중첩되고 과잉 기입된 공간으로 다루어 왔음이 드러나는 사건이었다. 2016년 10월 정부의 인공 임신중절 시술 의사 가중처벌 방안에 반대하여 집결한 검은 시위대는 ‘나의 자궁, 나의 것’이라는 도발적 선언의 피켓을 전면으로 내세웠다. 이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신체와 성이 내밀하고도 자유로운, 개인의 영역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권력의 인구정책과 남성 중심적인 성 이데올로기와 친족 구조에 의해 조정·관리되어지고 있는 구조적 현실에 대한 폭로와 비판이다. 인공 임신중절수술에 대한 금지와 끊임없는 논란, 불법화의 이면에는 여성의 순결 이데올로기, 그를 통해 보증되는 부계혈통사회의 존속과 유지, 자유로운 성애 활동의 구속과 억제, 생식기능으로 환원된 여성신체의 고정성 등이 복합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필자는 본 논고를 통해 현대 한국사회의 인공 임신중절수술의 담론의 양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면서 기존의 프로 라이프 대 프로 초이스로 양분되어지는 논쟁의 구도의 틀을 넘어서서 가부장제 시스템 내에서 ‘여성’-‘태아’이라는 기호가 담론 내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구조주의 인류학과 마르크스주의적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또한 푸코의 생명정치와 지식-권력-담론의 개념 프리즘을 통해 대한민국의 인공 임신중절 수술에 대한 정보와 경험, 이를 둘러싼 의학적·일상적 담론의 양상에 대해 면밀히 고찰해 보고자 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1. 서 론 2. 가부장제 의미경제 구조 분석을 통한 인공 임신중절 찬반 논쟁 재고찰 3. 한국 사회의 인공 임신중절 수술 담론 분석- 공포와 과잉담론의 역학을 폭로하다 4.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48 17 신경과학 약리학적 기분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고찰 / 추병완 2019  481
847 12 낙태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 이경직 2007  482
846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 기술이 인간을 진화시키고,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 김남욱 2018  482
84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에게 발생하는 이상반응 관리 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미성 2010  483
84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843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3
84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3
841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오미선 2019  483
840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839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2016  484
838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4
837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 신분등록제도의 개편을 중심으로 / 문흥안 2013  485
836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1998  485
83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834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833 9 보건의료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경험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 주명순 2016  485
832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
83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구인회 2005  487
830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829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2016  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