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통합유럽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34164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The German Childbirth Policy and Gender Implications

  • 저자[authors] 박채복(Park, Chae-Bo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통합유럽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1[2018]

  • 발행처[publisher] 서강대학교 국제지역문화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9-21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독일,출산지원정책,이인소득자모델,부모휴직수당제도,젠더,이주,Germany,childbirth policy,the dual earner model,the parental leave policy,gender implications,migration


초록[abstracts] 
[출산지원정책은 독일사회의 저출산 및 고령화현상에 직면한 독일사회의 핵심의제 중 하나이며, 이는 국가의 경쟁력 강화와 직결된 문제로 가족문제의 정치적 이슈화 과정과 가족복지정책의 공적 담론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독일의 출산지원정책 가운데 2007년부터 시행된 부모휴직 수당제도는 지속가능한 가족정책을 기반으로 독일사회가 남성생계부양자모델에서 이인소득자모델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낮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독일에서 부모휴직수당제도의 시행으로 인한 다양한 사회적 변화는 인구통계학적 문제로 인한 저출산 및 고령화문제의 해결과 함께, 자녀양육에 대한 남녀 공동책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젠더적 함의를 지니며, 그 시사점이 크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지속가능한 성장과 복지를 위한 가족정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독일사회가 부모휴직수당제도를 출산지원정책으로 시행하고 있음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한 출산지원정책이 얼마나 젠더정책의 방향과 성격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 출산지원정책의 패러다임에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childbirth support policy has become the subject of public discourse in the process of political issue of family matters in Germany and is a core part of the family welfare policy, because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trengthening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 line with the phenomenon of low fertility and aging of German society. In particular, the parental leave policy,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7 in Germany, is an important milestone in the transition from the male breadwinner model to the dual earner model based on sustainable family policies. The various social changes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ental leave system in Germany are aimed at solving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aging due to demographic problems. And that it provided the opportunity to shift social awareness of gender responsibilities for child rearing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active intervention by the state. This paper examines the gender implications of childbirth policy in Germany.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family policies for sustainable growth and welfare,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s of the changes of the German childbirth policy from the gender perspective. The character of the important reforms and their result of german childbirth policy have been analyzed. In addition,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gender policies and the paradigm of fertility policies as a result of the government’s active intervention.]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변천과정  Ⅳ.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현황 및 내용  Ⅴ. 결론 : 가족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및 젠더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6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3667 15 유전학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 김상현 2014  427
3666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6
3665 9 보건의료 국내 메르스(MERS) 사태가 남긴 과제와 법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소고(小考)/윤종태 2015  426
3664 1 윤리학 생명윤리법 제조과정에 있어서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 한성구 2004  426
366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6
3662 2 생명윤리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 유학 생명윤리와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원리 고찰/손보미 2016  425
3661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의료과오 책임에 관한 연구/장미희 2014  425
3660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연구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확보 방안 /박은정 2015  425
3659 8 환자 의사 관계 종합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와 가족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지식 정도, 경험, 태도,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윤은숙 2009  425
3658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365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생명의료윤리 의식 및 호스피스 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유진 2019  424
3656 14 재생산 기술 동결 배아 이식에서의 동결 배아 보존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 비교 연구 / 이아름 2016  424
365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재 / 김홍진 2001  424
3654 15 유전학 유전자조작 기술과 스포츠윤리 쟁점 연구 / 박성주 2018  423
365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최윤정 2010  423
365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2015  423
3651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3650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3
3649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실험연구의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박보배 2013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