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42021 
유럽 각국의 의약품 정책과 제네릭 시장 점유율과의 연관성 분석

  • 저자[authors] 장경섭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70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재현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제네릭 의약품,유럽 의약품 정책,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제네릭 의약품 사용 촉진,의약품 정책 중요성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abstracts] 
전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서 만성질환 치료제, 항암치료를 위한 화학요법제 등,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로 인하여, 환자 개개인의 의료비 지출, 정부의 보건의료 체계의 비용 부담 증가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를 이미 경험한 유럽의 많은 국가들에서는 의료비 지출 부담을 완화하고 적절한 의료비 지출을 추구하고 있다. 그 방안중 하나로 의료비 지출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은 의약품비 지출 감소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네릭 의약품의 사용을 촉진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제네릭 의약품은 오리지널 의약품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약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의약품 정책은 인구집단의 건강, 보건영역에 대한 대중의 만족도, 치료의 비용효과성 등의 관점에서 보건시스템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각 국가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약품 정책 중에서 제네릭 의약품 사용 촉진을 위한 정책들을 살펴보고, 각 국가들의 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개의 유럽 국가들에 대하여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각 정책들을 시행하는 국가의 제네릭 점유율 평균을 살펴보고, 정책의 시행여부에 따른 점유율 차이에 대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정책들과 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정책들이 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제네릭 점유율에 따라 국가를 분류하고, 고 제네릭 점유율 국가와 저 제네릭 점유율 국가를 비교하였다.     제네릭 의약품이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가격결정 방식과 의사, 약사를 대상으로 재정적인 요인이 포함된 정책이 시행되는 국가들에 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약품의 사용에 있어서 처방의 주체인 의사와 관련된 정책의 시행의 중요성을 ‘고 제네릭점유국가’와 ‘저 제네릭점유국가’의 비교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가격결정방식, 의사 측면의 재정적 인센티브 정책이 제네릭 의약품 시장 점유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의료비 지출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저가의 제네릭 의약품 사용 촉진하기 위한 정책 요소들을 파악하고,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인한 의료비 지출을 안정화하고 합리적인 의료비 지출을 위한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파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968 16 환경 환경문제에 대한 공학윤리적 관점/김은철 2009  535
396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보호의 규제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4  534
3966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 최순옥 2014  534
396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2012  534
3964 1 윤리학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의 의미와 의료법상 원격의료 부분의 개정방향 - 대법원 2013. 4. 11. 선고 2010도1388 판결을 중심으로 / 전진하 2015  533
3963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연명치료중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 / 최령, 황병덕 2012  533
396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악용한 테러가능성과 대응전략/이만종 2017  532
3961 5 과학 기술 사회 SF 영화에 등장하는 인공지능 로봇의 분류체계/신선아, 정지훈 2016  532
396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동의과정에서 피험자 보호 방안 / 이연진 2013  532
395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1
3958 14 재생산 기술 생명의료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여성의 재생산권리에 관한 연구 : 생식세포 기증 및 보조생식술에 관한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08  531
395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
3956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장원경 2012  530
3955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3954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3953 20 죽음과 죽어감 동물실험 연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관한 예비 연구 / 모효정 2016  529
3952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혜경 2004  529
395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성년후견인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김나래 2014  529
395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혈중 Visfatin 농도와 식욕부진의 관계 / 이소진, 이준용, 최윤선, 이준영 2014  528
3949 5 과학 기술 사회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간 지휘·협력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세월호, 메르스, AI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 황요한 2018  527